[학술논문] 김규동 시인 후기 시 연구
김규동 시인은 1925년 함경북도 종성에서 태어나 평양종합대학(김일성종합대학)에 다니다가 1948년에 38선을 넘어 남쪽으로 왔다. 그는 북녘 하늘을 우러러보며 63년 8개월을 살다가 2011년에 작고하였다. 남쪽에서 살아가면서 분단의 아픔과 분단 극복의 의지를 시로 표현하였다. 특히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감동적으로 그려낸 시편이 많았다. 김규동 시인은 말년에 펴낸 시집 느릅나무에게에서 사상성과 예술성을 잘 조화시켰다. 한 개인의아픔 토로에 그치지 않고 우리 민족의 아픔을 역사의 아픔으로 승화시켰다. 그는 젊은 시절에 모더니즘이나 초현실주의에 경도된 시절이 있었지만 그 사조에머물지 않고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사실주의로 나아갔다. 그러나 과격한 민중 지상주의에 함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