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일과 김정은의 통치 스타일 비교
..., 북한의 대외정책과 핵정책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김정일 시대는 공산주의를 버린 동구권이 고전하는 모습을 통해 선군정치와 사회주의 예찬론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었지만, 현재의 김정은은 공산주의 퇴조론이 고착화된 상황에서 체제유지를 모색해야 하는 불안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정일은 핵을 이용해 ‘벼랑 끝 전술’을 사용했고, 김정은도 같은 정책을 펼칠 것으로 전망 된다. 북한의 정권교체는 부자세습 방식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혈통의 계승성과 정책의 연속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당분간 김정은의 정책은 앞의 김정일이 추진하던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3년이라는 짧은 세습기간과 정치경험이 부족한 20대의 젊은 권력자이기에 그가 북한 국내외적 위기상황을 어떤...
[학술논문] 북한 김정은 독재체제에서의 우상화- 김정일·김정은 우상화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에도 큰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글은 김정일과 김정은 우상화 사례를 비교하여 우상화의 실체와 한계를 분석하고, 김정은 우상화 전개방향 전망과 우상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한 논리적 준거를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도출된 내용으로는 북한의 독재권력 구축·유지 및 세습을 위해 ① 카리스마 리더십 부각을 통한 지배의 정당화 ② 우상화 정책의 제도화 ③ 주입과 세뇌를 통한 사회화라는 3대 우상화 요소를 상호 복합적으로 작동시켜 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김정일과 김정은은 가계우상화, 상징물, 교육과 학습, 출판물 및 문화예술창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우상화를 전개해 왔다는 사실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북한 김정은 체제는 순수한 의미에서 전통적 권위, 카리스마적 권위, 합리적 권위를...
[학술논문] 신년사로 본 김정일· 김정은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 비교
이 연구는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일과 김정은의 남한에 대한 인식과 남북관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시말해 권력을 승계받은 김정은이 대남한에 대한 인식정도와 긍정적인 남북관계, 부정적인 남북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향후 대남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낼 것인지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가늠해 보고자한다. 본 분석 결과의 요약은 김정일보다는 김정은이 남한에 대해 부정/긍정적인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긍정적인 관계도 많았지만 이에 못지않게 부정적인 관계도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김정일 시대에는 긍정인식이 높아지면 긍정 관계가 많아지는 등 어느정도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나 김정은시대에는 긍정인식이 높아지면 긍정관계가 줄어들고 부정인식이 높아지면 부정관계가...
[학술논문] 김정일 시대와 김정은 시대의 당·군 관계 특성 비교 : 국방위원회와 국무위원회를 중심으로
이 글은 북한 김정일 시대의 국방위원회와 김정은 시대의 국무위원회를 중심으로 김정일 시대와 김정은 시대의 당·군 관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당·군 관계의 특성은 시기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 중국의 당·군 관계를 설명한 엘리스 요페(Ellis Joffe)의 당·군 관계 관련 이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김정은 시대의 당·군 관계가 대내외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김정일 시대에는 국방위원회가 최고 국가기관으로 격상되고 국방위원장이 사실상 북한 최고통치자 역할을 하고 선군정치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김정은 시대에는 후계자 김정은은 최고 권력자를 견제할 수 있는 군부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하여 당의 기능을 정상화시켰다....
[학위논문] 북한 최고지도자의 카리스마적 지배에 관한 연구 : 김일성·김정일·김정은 현지지도 비교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harismatic leadership of the Supreme Leader as the operational principle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system characterized by three generations of blood ties and the unique governing system in D.P.R.K’s socie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power mechanisms within D.P.R.K’s society operate not only through the coercive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