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능동적 억제전략의 대북 실효성 강화를 위한 연구
한국의 기존 대북 군사전략은 한미동맹을 근간으로 전면전을 방지하기 위해북한에 대한 군사력의 우위를 달성하고자 노력하였다.하지만 북한의 국지적 도발은 끊임없이 발생함으로써 국지도발 억제에서 기존 전략의 한계가 드러났다. 2010년 적극적 억제전략개념을 도입한 것은 안보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한국의방위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적극적 억제전략은 북한이 국지도발을 일으킬 경우 교전규칙과 자위권을 분리하여 자위권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하겠다는의지를 표명한 것이다.이후 박근혜 정부에서는 우리 군의 군사전략 기본개념을능동적 억제로 변경하였다.능동적 억제는 적극적 억제보다 공세적 성격이 강화된개념으로 전면전 방지를 위해 선제적인 대응조치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지난 8월 4일 비무장지대내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사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