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 이행기 동유럽의 안보 및 동맹전략의 변환과정과 경로에 관한 연구: 체코와 우크라이나의 사례 비교
...유럽의 집단안보체제이자 대표적인 군사동맹기구인 NATO와 정치·경제적 동맹체제인 EU를 선정하였다. EU를 주요연구대상으로 설정한 이유는 EU의 군사안보전략이 NATO와 밀접하게 연동되어있고, ‘공동외교안보정책(CFSP: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과 ‘안보방위정책(ESDP: European Security and Defense Policy)’, 그리고 ‘유럽안보전략(European Security Strategy)’ 등, EU의 안보 및 군사관련 프로그램들이 가입국들에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체코와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 국가들은 EU와 NATO를 자국의 안보전략에서 통합적인 체계로 사고하였으며...
[학술논문] 한미 일체형 확장억제가 반영된 한미 연합연습 준비 소요에 대하여 : 2019년-2023년 한미 연합연습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2019년 전반기부터 2022년 전반기까지 총 7차례에 걸친 한미 연합연습의 방향은 축소되었고 그중에서도 미일 양국 간 전략적 이해에 따른 한미, 한일 간의 갈등을 추론해볼 수 있는 이례적 사례가 있으며, 이로부터 유엔군사령부 확대 방안과 평시작전통제권에 대한 미국의 관심 사항, 한미일 삼국 간 군사협력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찾는다. 둘째, 한국 정부의 정권교체 이후 2022년 후반기부터는 한미 연합연습이 점진적으로 정상화되고 일부 개편 및 확대되는 변화를 보이는데, 이 과정에서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에 대한 대항군의 언급은 물론,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8가지 세부 사항들이 연습에 반영된 점을 주목한다. 반면, 북핵 위협과 북핵 사용에 대한 실질적 대응으로 핵정보 공유, 핵연습 및 발사 참관, 핵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