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과 그 지원자의 난민성에 대한 법리적 고찰
...defectors refugee status and considers them illegal economic migrants. Therefore if the defectors are caught in China, they are repatriated back to North Korea to face harsh interrogations and years of punishment, or even death in political prison camps. A refugee is someone seeking land because of their sexuality, gender, race, religion and ethnicity. International refugee law defines a refugee as someone...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문제에 관한 연구 : 인권적 차원에서의 지원 방안를 중심으로
...생각하였다. 탈북단계 및 제3국 체류단계와 한국 입국 단계의 요인들을 연계선상에서 분석하였다.
셋째로 재중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지원사업 주체별 역할 및 난민적용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난민협약에 따른 정치적 난민 인정여부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일시적 보호(Temporary Protection)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난민인정에 있어 관건은 중국당국으로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관된 난민인정 거부와 불법월경자로의 취급은 변화될 가능성이 희박하다. 난민인정 보다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일시적 보호인데 이것 역시 중국당국의 동의가 있어야 하며 일시적 보호기간이 경과한 후에 자발적 귀환을 전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학위논문] 전시의 미군 통역인 : 한국상황에 북한 난민 활용방안
.
[학위논문] 비대칭동맹국가의 약소국 붕괴 시 개입에 대한 연구 : - 북한 급변 시 중국의 개입을 중심으로
...of the North Korean regime).
To begin with, I set the hypothesis that sudden collapse of North Korea will cause agitation among North Koreans –chaotic circumstances including massive refugee outflows and etc.- as the major premise of the research. I also assume that China, as the asymmetric ally of North Korea, will intervene if North Korean Collapse arrogates China’s core interests...
[학술논문] 대규모 난민이주 관리를 위한 국제법적 방안
국제적인 난민사태가 발생할 경우 난민에 대한 비호, 재정착, 본국송환 등 영구적 해결방안(durable solutions)에 대해 상당히 많은 법적 논란이 있어왔다. 난민이주에 관한 법적 기초는 1951년 난민협약(Refugee Convention)에서 비롯되었지만 현재 국제난민법에서는 오늘날 발생하는 난민이주 및 이주형태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가의 의무 등에 관해 제대로 규정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난민들은 이와 같은 국제법규와 관계없이 안전 및 보다 나은 삶을 위해 필사적으로 국경을 넘고 있으나 이에 대하여 최근 유럽난민사태(European Migrant Crisis) 경우 EU회원국들은 발칸루트(Balkan Route)를 봉쇄하였고 미국과 멕시코의 경우 국경장벽 건설을 계획하는 등 관련국들은 억제전략(deter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