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 신동방정책과 북·러 경협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를 기점으로 동북아 정세는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동유럽에서 러시아와 서방의 대립은 신냉전을 불러오고 있고,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로 말미암아 동북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 푸틴의 ‘신동방정책’은 러시아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여기에 새로운 파트너로 북한을 지목하고 있다. 새롭게 정립된 북․러 관계는 경제, 에너지, 건설, 물류에 이르는 광범위한 부분에서 진행되고 있다. 박근혜정부도 포스코(POSCO) 컨소시엄을 앞세워 라진-하산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1990년 이후 북한은 붕괴된 경제상황과 고난행군으로 말미암아 세계적인 빈국으로 전락했다. 2012년 새롭게 등장한 김정은 체재도 ‘핵-경제 병진노선’으로 말미암아 국제적 고립을 면치
[학술논문] 푸틴 집권 4기 러시아의 동북아‧한반도 정책과 한‧러 외교‧경협의 과제
... 측면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러시아는 자원판매 시장과 기술보유국으로서의 한국과 협력에 기대를 걸고 있다. 에너지와 물류의 허브 국가로 거듭나서 강대국으로서의 확고한 위치를 가지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러시아의 협력 수요를 활용하여 북한이 참여하는 남북러 3각 프로젝트 공동조사와 타당성 검토 작업이 선행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GTI 등과 같이 러시아가 적극 참여하고 작은 공간에서라도 실질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협력의 면을 넓히는 노력이 요구된다.
[학술논문] 남북러 철도(TKR-TSR) 연결의 정치학 : 과제와 국제협력
...잇는 동북아 ‘다자협력’의 중요한 모델로서 철의 실크로드(Iron Silkroad)를 완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철도 운송을 통한 동북아 지역의 운송 패러다임의 획기적 변화와 극동지역의 에너지 및 자원 개발을 위해서 가장 큰 걸림돌인 북한의 비핵화 진전 여부가 최대 관건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남북러 철도를 매개로한 육로 연결을 통해 내수시장 확대와 북한의 개방을 유도하고,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러시아와의 철도 협력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고이 목적은 한반도 평화와 경협의 상징인 남북철도 연결을 매개로 한 한반도종단철도와(TKR)와 유라시아로 연결되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의 연계에 필요한 과제와 국제협력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해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