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북한, 중국, 한국) 무역의 중심지로서의 중국 단동: 중·조와 남·북 무역의 교차점의 역할과 현황에 대한 분석
단동에서 실천되는 삼국(북한, 중국, 한국)의 만남과 네 집단(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사람들의 경제 활동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삼국이 연결된 무역 활동이 한·중 혹은 중·조 무역으로만 간주되고 있다. 하지만 단동페리는 한·중 간의 무역뿐만 아니라, 중조우의교와 연결되어 북한을 포함한 삼국 무역의 한 부분을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 단동은 삼국의 만남의 현장이자 중심으로 자리를 잡았고, 삼국의 유통 흐름은 네 집단이 있기 때문에 활성화 되고 있다. 그들은 경의선 통과가 상징하는 두 국경과 관련된 넘나들기의 내용과 역할을 단동에서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정황들을 고려하면, 연구자들이 예견하는 것과 달리 단동에서 삼국의 만남과 연결은 미래형이
[학술논문] 5.24조치가 북·중 무역에 미친 영향에 관한 분석: - 한·중·북 삼국무역에서 편익·비용의 변동 추세를 중심으로-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남북교역과 북·중 무역은 원래‘대체’관계라기보다‘상호촉진’관계에 가깝다. 즉 삼통이 제한된 남북교역에서 한국인 무역업자는 삼통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을 경유하는 새로운 무역통로를 형성했으며, 이는 한·중·북 삼국이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남북무역의 형태를 파생시켰다. 이때, 한국인은 면세 혜택으로 인해 우위에 있었다. 따라서 둘째, 5.24조치는 상기 중국을 경유하는 남북교역루트를 차단할 수 없었다. 한국인의 참여 비용은 상승한 반면, 중국인의 편익은 증가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중국인은 경쟁자가 사라진 현실에서 시장을 장악할 힘, 즉 북한산에 대한 가격 결정 능력을 확대시켰다. 셋째, 결국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