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산림협력 시나리오와 환경정치의 현실화
...불확실성이 큰 사안에 대해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연구방법은 유의미성이 크다. 남북 산림협력사업은 핵심변화축인 남북관계와 북한의 대외관계가 모두 경색되었을 경우에도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산림복구사업이 최근 ‘환경정치’, ‘환경안보’ 등으로 중요시되는 환경적 사안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보통 시나리오 연구가 핵심변화동인 2가지를 통해 2×2로 4가지 경우로 진행되지만, 본 연구는 핵심변화축에 북한의 산림환경 변화가 추가되어 2×2×2, 즉 8가지 경우로 각 시나리오가 작성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시나리오는 불확실한 남북관계 등에서도 남북 산림협력사업의 합리적 근거를 마련하여지속적인 남북 산림협력사업 전략의 추진을 가능하게 한다.
[학술논문]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 분석(1962~2016)
...임농복합경영과 풀뚝다락밭을 통해 토양침식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이용 분야에서는 주로 펄프/종이와 버섯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함을 확인하였다. 산림경영 분야에서는 ‘생태정보’ 분야의 활동이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탄소감축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 산림과학 동향을 살펴본 결과 북한의 산림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자연 개조’ 대상에서 ‘자연 보호’를 함께 수반하는 관리의 대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여 진다. 향후 세부 분야별 남북 산림과학 기술 비교 연구와시기별 북한의 정책방향이 연구 방향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남북산림협력사업을 원할히 하기위해서 남북산림용어사전 편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