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대비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방안
...머물고 있다는 평가가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남한의 환경보호법제를 중심으로 통합하되 장기적으로는 남한과 북한의 상황을 절충한 제3의 법질서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계적․점진적 환경법제 통합 및 적용방안 마련을 위해 우선은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에 앞서 남한의 환경법제 선진화 방안으로 우리나라 환경헌법의 논의 과제 및 환경행정법 정비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동서독 통일 과정에서의 환경법제 통합사례를 검토한 후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셋째 남북한 교류협력에 의한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방안 및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법제통합 논의 시 사전 준비된 로드맵에 의해 이행되어야 하겠다. 북한의 급변사태시 헌법 제3조의 해석상 우리 법을 북한에 적용하는 것은 법리적으로...
[학술논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북한 SOC 구축 지원 전략
...1990년대를 전후하여 남북한 SOC에 관한 연구가 일부 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북한 SOC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북한 SOC관련 연구는 각 연구기관별로 독자적인 연구추진체계에 의한 도로, 철도, 수자원분야 등 단편적인 연구형태로 수행되어 왔으며, 이를 이행가능하게 하는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관점의 통찰적인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최근 정부의 통일 정책 및 남북교류 협력 정책의 기조는 작은 통일에서 시작하여 큰 통일을 지향하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추진하여 북한의 개혁개방 진전 시에 필요한 국가 차원의 SOC 구축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 관점에서 국토과학분야 지원 방안을 수립하기...
[학술논문] 중국과 대만 양안(兩岸) 간의 경제교류 협력을 위한 투자분쟁해결 제도와 남북경협에 있어서의 시사점
...중국과 대만 양안간의 투자 현황 및 분쟁해결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남북한관계의 정상화를 통해 경제교류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에 대해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① 실리적인 경제교류 협력을 위한 상설 ‘민간협상기구’ 설립, ② 남북경협 분쟁 해결을 위해서 남북 양측의 ‘특수관계’를 충분히 고려하고, ‘당사자자치원칙’에 근거한 ‘남북상사중재위원회’의 조속한 구성과 운영 및 「중재규칙」의 제정이 시급하며, ③ 남북한 경제교류협력을 위한 ‘독자적인 분쟁해결 시스템’ 확립의 필요성, ④ 남북한 간의 사법공조 협의, ⑤ 북한의 법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법제교류 및 지원 정책의 시행 등이 있다.
[학술논문] 통일시대 남북한 문화유산 교류와 협력
...교류와 협력은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민족공동체 의식을 확대하는 본질적 역할과 더불어 그 자체의 비정치적이고 학술적인 성격으로 인해 남북관계가 악화되어 있을 때도 국민적 동의를 이끌어내기 용이하다. 문화유산 관련 교류와 협력은 민족 문화유산의 보존이라는 민족의 백년대계를 위한 사업이다. 협의 과정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인내와 시간을 갖고 추진해야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군사적인 정세와 상관 없이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민족 공동의 문화유산을 보존한다는 대승적 견지에서 상시적으로 남북이 교류하고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하겠다. 이것은 남북역사협의회와 문화재청이 공동으로 정부의 협력을 얻어 수행해 나가야할 시대적 과제라고 하겠다. 남북간 문화유산의 교류와...
[학위논문] 韓·美 安保協力體制下에서 美國의 韓半島 危機管理戰略 硏究
...선제공격을 불사한다는 강경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한편, 2000년 6월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한은 교류와 협력에 대 전환점을 이루었으며 북한의 핵 개발시인(2002. 10)이후에도 이 기조는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이러한 표면적·정치적 화해와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대남 적화통일전략에는 조금도 변화가 없으며 군사적 위협(전략, 능력, 배비, 의지 등)역시 과거와 조금도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통일은 韓民族에게 있어 至上명제이다. 따라서 활성화되고 있는 現今의 남북한 교류·협력 기조는 유지시키되 북한의 위협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여 확고한 안보정책을 우선시하고 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