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권]
...제1부에서는 북한이주민들이 한국 사회에서 소수자로 살아가며 겪는 마음의 상처, 즉 외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제2부에서는 북한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심리·사회적 자원에 관한 연구 사례를 통해 드러나는 상처와 개인적 및 외부 자원의 활용, 성장 과정에 관한 실제 연구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그들의 성장과 발전을 방해하는 제약 요인과 고민도 대화록에 담았습니다. 제3부에서는 한 북한출신 소녀의 사례를 통해 그녀가 역경을 극복하고 활력있는 일상을 살아가는 모습, 그리고 그녀만의 독특한 철학과 에너지를 생생한 대화체로 전달하였습니다. 이러한 일상을 이해하는 것은 그들과 그들이 속한 사회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찾고, 남북인이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는 일상 문화를 찾아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사회/문화]
..., 사회적 네트워크, 입남 후 변화된 사회공동체와 관련된 신념 등을 검토하였고, 사회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데 있어 제약 요건과 고민도 대화록에 담았습니다. 북한이주민들의 일상에서 중요한 사회공동체를 이해하는 것은 그들과 그들이 속한 사회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찾고, 남북인이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는 일상 문화를 찾아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사회/문화]
.... 제2부에서는 멘토들의 증언을 통해 처음 북한출신 멘티들을 만나기 전의 긴장감, 친밀한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 멘티들이 어떤 도움을 받았는지, 멘토들이 서비스러닝을 통해 어떤 심리적 경험을 했는지 등을 기술하였고, 멘토링 과정에서의 제약 요건과 고민도 대화록에 담았습니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서비스러닝의 가치와 중요성, 향후 발전 방향 및 제언에 관해 기술하였습니다. 북한출신 아동과 청소년들의 이러한 일상을 이해하는 것은 그들과 그들이 속한 사회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찾고, 남북인이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는 일상 문화를 찾아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