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푸틴-김정은 시대의 북러간 경제협력 실태 및 전망
Russo-North Korean economic relations have been close since Soviet times. But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has negatively influenced the economic relations of both countries. President Putin's 2000, 2001 and 2002 summits with Kim Jong Il were the turning point of the Russo-North Korean rapprochement. Russia was ready to implement plans with North Korea regarding energy, railway, and electricity
[학술논문] 중국의 일대일로와 동북아 경제협력의 확장성 연구-남⋅북⋅중 접경지 물류⋅관광 협력 중심으로-
...거대한 담론이며, 북한지역의 시장화를 촉진하는 계기도 된다. 남북중간 관광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인적교류를 강화하고 교통 인프라의 재정비와 투자를 통한 물류네트워크의 구축은차후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연계성이 높은 사업이며, 북핵문제로 교착상태에빠진 동북아 국제정치적 환경을 개선하고 한반도 경제공동체를 향한 대담한 발상의 전환이라 할 것이다. 남북중이 철도로 연결되면 중국이 구상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의 완정한 완성이 가능하여 남북중간의 협력을 통해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경제와 대륙경제의 교량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기한 남북중간의 국제관광협력구는 동북아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는 새로운모델이 될 수 있다. 이 지역은 풍부한 자원과 노동력 그리고 중국의 동북부 배후지 시장을...
[학술논문] 미래 한반도 육로통관을 대비한 관세행정 지원방안 연구
2014년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통해서 남북한 육로통관 개통과 그 이후 대륙으로의 철도연결 에 대한 로드맵이 제시된 이후, 현 정부가 2018년 구상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로드맵을 통해서 중국・러 시아를 중심으로 한 대륙과의 물류시스템 연결계획이 좀 더 구체화 되었다. 최근 일련의 남북 및 북미정 상회담 개최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앞당기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서 개성공단을 중심으 로 한 남북교역이 재개될 가능성이 증대되었고, 남북한 철도개통과 중국 및 러시아로 향하는 대륙횡단 철 도와의 연결도 앞당겨지게 될 가능성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이처럼 철도 중심의 물류 운송 인프라가 설 립・개통되고 그 범위가 확대될 경우, 기존의 통관 및 관세행정은 변화된 수출입 물동량과 물류경로, 통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