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석정 별서유적 및 백석동천 연원에 관한 연구
...became the place for excursion and association of literary group and noblemen. In 18th century, some literary group retired from political af-fairs and left out of practical politics, as group of Mam-in(南人), So-ron(少論), Sil-hak(實學), school of Gang-wha(江華學派) and literary men from middle class(委巷文人), enjoyed an outcoming to this area and get together to compose poems and some writings in Tangchoondae(蕩春臺)...
[학술논문] 신년사로 본 김정일· 김정은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 비교
이 연구는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일과 김정은의 남한에 대한 인식과 남북관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시말해 권력을 승계받은 김정은이 대남한에 대한 인식정도와 긍정적인 남북관계, 부정적인 남북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향후 대남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낼 것인지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가늠해 보고자한다. 본 분석 결과의 요약은 김정일보다는 김정은이 남한에 대해 부정/긍정적인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긍정적인 관계도 많았지만 이에 못지않게 부정적인 관계도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김정일 시대에는 긍정인식이 높아지면 긍정 관계가 많아지는 등 어느정도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나 김정은시대에는 긍정인식이 높아지면 긍정관계가 줄어들고 부정인식이 높아지면 부정관계가
[학위논문] 북한의 대남 인식변화와 남북한 관계 : <신년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술논문] 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에 나타난 좌우 이데올로기 대응 양상
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에 나타난 주요 인물은 해방 이후의 시기에 북한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월남 직후 임화 주도의 조선문학가동맹 이데올로기, 남한의 반공주의․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중상층 월남인 유형의 대응․적응 양상을 잘 보여줬다. 그동안 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은 주로 순수서정이나 적극적인 현실 형상화․비판으로 언급되었으나, 좌우 이데올로기 대응이라는 측면에서는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이 논문에서는 호미 바바의 탈식민주의론과 슬라보예 지젝의 이데올로기론을 참조해서 시 6편과 단편소설 7편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우선 황순원은 시 6편과 소설 「술 이야기」에서 모든 계급의 인간이 지님에도 그 논의가 허용되지 않는 사적 소유의 욕망과 비(非)계급적․성애적인 사랑을 소재화했는데, 그 소재화 자체가
[학술논문] 남북한 미디어의 탈북인/탈북탈남인 서사: 미디어가 구성하는 분단의 현재성과 윤리
...TV프로그램과 탈북인 및 탈북탈남인을 주제로 다룬 언론매체를 분석한다. 북한의 미디어는 로동신문, 조선중앙TV과 우리민족끼리TV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남한 미디어에서는 탈북인을 ‘인정의 대상’과 ‘잠재적 범죄자’로, 탈북탈남인은 ‘범죄자’로 서사화되고 있다. 북한은 탈북인을 ‘유인납치 되어 송환되어야 할 공민’으로, 탈북탈남인은 ‘돌아와 용서받은 배신자’로 서사화한다. 재현방식에서 남한 미디어는 주로 예능형식과 언론의 범죄관련 기사로, 북한은 논설이나 간담회 형식의 총화내용으로 구성하여 양 국가의 미디어는 대중적인 확산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분단체제에서 탈북인/탈북탈남인들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