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년대 북한 아동희곡의 주제의식 연구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 ‘남해바다’라는 구체적인 지명으로 말미암아 각각 북한과 남한을 선악의 이분법으로대비시키고 있다. <경남이의 죽음>은 주인공 소년 경남과 그의 가족이 겪는 시련을 통해 고통 받는 남한 민중의 시련과 갈등을 다루며, 남한 체제와 친미 사대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영웅 아저씨 맞이하는 날>, <산신령>은 6.25전쟁에 참여한 인민군을 영웅으로 형상화한다. <털모자>는 일본 헌병에 쫓기는 소년 을설이 김일성을 만나러장도를 떠난다는 드라마로서 김일성을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항일빨치산의 영웅으로 우상화한다.
[학술논문]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
...인문사회변혁론이라고 주장한다. 김정일 중심의 북한체제에 대한 비판의 준거는 자신이 창시한 주체사상이다. 따라서 그의 주체사상의 얼개를 먼저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가 남한에 와서 저작한 중심저작들의 주제들을 일별해 볼 필요가 있다. 글의 목차는 황장엽의 북한체제비판, 황장엽의 남한체제 비판, 황장엽의 주체사상 개요,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 그리고 황장엽의 통일한국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으로 구성될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황장엽은 사상적으로 남한체제에 전향하지 않았고 자신의 인간중심 주체사상으로 남북한 사회를 공히 비판적으로 지양함으로써 통일한국을 제시한다. 그는 절대적 계급주의 사상, 수령론으로 각질화된 주체사상, 주체사상을 타락시킨 김정일의 선군정치 등을 비판하면서도 자신의 집체주의적 사회역사관을 조금도 부정하지...
[학위논문] 탈북 작가의 장편 소설 연구
...토대로 서사구조가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과 형식에 있어 이분법적 갈등방식과 서사 전개 양상이 지닌 의미는 작가가 남한의 사상검열에 응해야 했던 억압적인 상황과 탈북 이후 남한의 기관에 소속되어 저술한 여타 저술과의 연관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그의 작품이 지닌 특성은 남북 이데올로기 갈등이 극심했던 시기에 탈북했다는 사실과 연관된 남한 체제의 반공 이데올로기에 의한 것이기도 하며, 작가가 지닌 이데올로기적 인식 방식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Ⅲ장에서는 『연변에 약산 진달래꽃』이 지닌 자전 소설적 성격을 중심으로 정체성의 형성과정과 변화 양상을 작품이 지닌 복합 장르적 특성을 관련지어 검토하고자 하였다. 북에서의 정체성의 형성은 북한 체제 이데올로기의 수용이란 의미를 지닌다...
[학술논문] 이근삼과 북한공연예술의 이데올로기
...평론들에서 북한공연예술의 특징으로 첫째 당국의 정책 목적에 부합하도록 작품이 구성된다는 점, 둘째 계급투쟁의 목적을 지닌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작품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이근삼은 남한공연예술 활동의 ‘자유’와 북한공연예술 활동의 ‘통제’적 측면을 비교하고 암묵적으로 남한 체제의 우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근삼은 북한공연예술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며 이데올로기 개념을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이근삼에 의하면 이데올로기란 예술가의 의식/무의식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관념 체계로 설명되고 있으며 예술작품은 작가의 관념적 의식/무의식적 체제의 표현이며 예술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