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노동계급 이론과 실제: 노동계급의 형성과정과 현존 사회주의적 정체성(1953년~69년)
... 명령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인전대(transmission-belt)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주체사상은 북한체제가 노동계급 국가로 규정하지만, 이는 현실이 아니다. 북한의 노동계급은 한국 전쟁이후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계획경제 시스템이 완비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치경제적으로 노동계급의 자율성과 독립성은 극히 제약되었다. 현지지도와 천리마 운동은 노동계급이 스스로 노동동원에 참여할 것을 강요했다. 물론 이는 수령과 당 그리고 체제에 대한 충성의 상징이 되었다. 대안의 사업체계와 계획의 일원화와 세부화를 통해서 당의 명령에 절대적으로 복종하는 현존 사회주의적인 정체성이 제도화되었다. 이로써 체제정당화가 성취되고 노동계급의 생활세계(Lebenswelt)는 식민화된다.
[학술논문] 60년대 강화 직물노조사건과 가톨릭 노동청년회(JOC)
...있다. 한국사회의 60년대는 산업화가 전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반공주의에 기초한 국가주의와 위로부터 노동자에 대한 직접적인 노동통제가 이루어진 시기이다. 강화지역의 경우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력한 농촌사회의 유교적 특성과 보수성에 기반을 둔 사회로 직물 노동자의 계급 형성은 아직 맹아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특히 강화지역은 북한과 접경지역으로 이데올로기 갈등과 피해의식이 타 지역보다 훨씬 높은 지역으로 이는 노동계급 형성에 큰 걸림돌이었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65)이후 교회는 세상을 향해 문을 열고 사회에 대한 관심과 예언자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였다. 기존 노동사에 있어 60년대는 단순히 노동운동의 존재자체가 미비하거나 계급의식 수준이 낮은 ‘노동운동의...
[학술논문] 신해방지구 인민의 사회주의 체제 이행
... 조직, 행위의 지침이 근본적으로 달라지는 것이다. 당은 신해방지구에 대한 대책을 수립해 당적 지도를 강화하고 농업협동화와 문화선전사업, 당증교환과 노동규율 강화를 대대적으로 펼쳐나갔다. 수복지구에서 노동당의 정책은 저항에 부딪치기도 했지만, 노력동원과 노동계급화 등 생활의 변화, 그리고 모범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체제가 원하는 인민으로 주민들을 형성해갔다. 농업협동화 정책은 집단주의 원리에 따라 추진되었고, 당은 노동당원과 제대 군인, 민청원, 교원, 인민반장 등을 모범으로 제시하면서 인민의 정형을 창출했다.
[학술논문] 북한 시장화 이후 계급체계와 노동계급의 이데올로기적 정체성 변화
... 표방하고 있다. 하지만북한주민들은 경제위기와 시장화 과정에서 ‘사회주의’라는 이데올로기적정체성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적어도 현재까지 북한의 노동계급은 자본주의적 노동계급으로서의 정체성을 체감하지는 못했다. 그리고북한의 노동계급은 당과 국가에 대한 적대적인 계급의식을 가지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즉, 북한 노동계급의 마음체계는 사회주의나 자본주의적정체성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합적’ 정체성을 보이고 있다.
[학위논문] 해방기 북한 시문학 연구 : 1945~1950년을 대상으로
...부딪쳤을 때 지나치게 의욕의 세계를 앞세움으로써 작위로서의 예술성이 손상을 입었다. 1948년 이후 북한의 시문학은 뚜렷한 목적의식을 바탕으로 한 창작방법론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는 시인들을 소위 '정밀기사 시인'으로 규정하기에 이른다. 이 정밀기사 시인들의 과업은 단지 현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에 작가가 깊숙이 들어감으로써 당대의 노동계급성과 인민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양식적 고찰에서는 서정, 서사 그리고 모더니즘의 행방에 대해 다루었다. 모더니즘의 경우는 시 양식적 문제와는 다르지만 모더니즘의 행방은 북한시의 양식적 변화와 필연의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고찰하였다. 해방 직후 많은 시인들이 과업시에 해당하는 정치적인 시를 창작했던 것도 사실이지만 서정시도 일정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