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 이동(移動)의 재해석 : 노마드(nomad)로서의 의미는 무엇인가
...같았다. 우선 노마드로서 연구참여자들은 생명력 회복을 위한 도주를결정하면서 아시아 각국을 이동하였다. 이 범주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추상적진술을 바탕으로 한 주제들은 ‘일상의 코뚜레’, ‘무희망’, ‘방랑의 원초적 열망’, ‘인간 존엄성의 상실’ 이었다. 다음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역동적 이동은노마드적 사유와 변화, 즉 자신들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끊임없이 바꾸어 ‘노마드적 가치’를 창조하도록 하는 생활양식의 출발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범주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추상적 진술에 의한 의미들은 ‘노마드의 회복력’, ‘노마드의 창조성’, ‘노마드의 상생과 통합’이라는...
[학위논문] 탈북청소년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예술기반연구
...노출되어 있었다. 그 이면에는 한국사회의 학벌주의와 학력주의가 있었다. 둘째, 당장의 이익을 위한 전공과 진로를 선택하는 탈북청소년 삶의 전반에는 후기 자본주의가 깔려 있었다. 이들은 시장 경제 논리 속에서 각종 지원금과 경제적 혜택을 따라다니며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을 협상하였다. 셋째, 세계화로 인한 다문화주의로 학생들의 가정과 삶에 확연하게 퍼져있는 노마드 현상이었다. 일부 학생들은 한국을 중간 경유지로 인식하며 끊임없이 이주를 지속하며 한국시민에서 난민으로 다시 대학생으로 다양한 정체성을 비교 체험하고 돌아왔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일상과 사회의 거대담론을 연결하는 매개상황은 교사나 먼저 온 가족과 친구 등의 사람, 인터넷과 핸드폰, TV 등의 대중매체, 그리고 중국과 해외 거주 경험 및 학습 경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