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보훈의 국민통합적 기능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국가보훈이 가장 발달된 곳은 미국이다. 미국은 내전 종식 거의 100년 후에야 남부군 출신자에 대한 보훈 혜택이 이뤄졌다. 미국 내전과 달리, 6.25전쟁이 누구의 승리로 완결되지도 않았고 전쟁의 종식이 아닌 휴전으로 60년 이상의 세월을 보내고 있는 한반도 공간에서 남북한을 통합하는 보훈을 당장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또 프랑스 사례는 변혁의 와중에 발생한 공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려움을 보여준다. 짧은 기간 여러 큰 변혁을 겪은 대한민국 역시 국가보훈의 국민통합적 역할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조급한 평가보다 숙의된 평가가 필요하다. 보훈은 과거 행위에 지나치게 집착하기보다 미래의 공헌을 유도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또한 국민통합적 국가보훈에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