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통일논문집』을 통해 본 한국 대학생의 통일담론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한국 대학생의 북한인식과 통일의식을 『대학생 통일논문집』을 통해 분석했다.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본 대학생 통일담론은 ʻ체계통합ʼ과 ʻ사회통합ʼ이라는 담론분야와 시기변화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체계통합 분야에 해당하는 정치·군사·경제 등 시스템 차원의 담론은 정책 결정권을 가진 정부의 통일담론과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반면 사회통합 분야는 대학생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통일의식 및 교육, 대학문화를 다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율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시민사회, 학계 등 다양한 담론 구성체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논의가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탈냉전과 민주화 시기를 기점으로 대학생 통일담론의 질적 전환이 이루어졌다...
[학술논문] 사전 편찬을 통해 본 李克魯의 독립운동사적 위상과 냉전적 해석 굴레의 탈피
...『조선말 큰 사전』 제1권을 발행한 이듬해인 1948년에 越北을 하였는데, 월북의 목적은 金枓奉의 제안에 따라 북쪽의 조선말 사전을 편찬하여 남북의 분단으로 야기될 언어의 분단을 막고자 한 것이었다. 월북 후 이극로는 조선어문연구회의 위원장이 되어 ①조선어 문법의 편수 간행, ②조선어 사전의 편찬 간행, ③조선 어문 연구 잡지의 간행, ④조선 어문 연구 논문집의 간행, ⑤조선 어문에 대한 특별 강연회의 개최 등의 북한의 어문 정책을 주도하였다. 이런 그의 행적을 보면 그가 월북을 하였다는 이유로 남북의 언어 통일을 위하여 사전 편찬과 문법 연구에 집중한 업적이 평가 절하되어서는 곤란할 것이다. 이보다는 민족의 통일과 언어의 분단을 막기 위해 어려운 결심을 한 그 정신과 용기를 높이 살 필요가 있으며, 그의 행적은...
[학술논문] 북한의 독도 연구 및 저술 현황 분석
...비롯하여 연속간행물이나 단행본 등 독도 관련 연구 및 저술 전반에 걸친 현황 조사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북한에서 출판된 연속간행물, 학술논문집 및 단행본, 학술회의 발표문 등 북한의 독도 연구 및 저술 전반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이미 상당한 정도로 파악된 ꡔ로동신문ꡕ의 독도 관련 기사 현황에 대한 분석은 제외하였다. 이 글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소장 자료 중에서 열람이 가능한 1970년대 말에서 2016년 사이에 출판된 연속간행물, 학술논문집, 단행본 등이다. 이 글에서 밝히고자 한 것은 북한의 독도 관련 연구나 저술 현황이 어떠한가, 그리고 북한 내에서 독도에 관한 연구나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