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문법론 연구의 성과와 과제
...소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남북언어 이질화 극복, 2) 학회 및 연구소의 북한 어문학 특집호, 3) 북한 조선어학 분야의 분류, 4) 북한의 조선어교육/한국어교육 연구 및 통일 대비 국어교육, 5) 남북 화합(남북 상생)을 위한 향후 연구 주제 제안셋째, ‘실천적에서 이론적으로’ 나아가는 북한 문법론의 최근 내용적 경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넷째, 북한 문법론에 대한 향후 연구 주제 및 방법론에 대해 네 가지 소주제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1) 북한 문법론에 대한 북한 내적인 시각 탐구, 2) 남한 문법과의 비교 연구_기술 체계 유사성, 3) 미시적 주제 중심의 연구_높임표현, 외딴성분, 4) 북한 문법 총서(조선어리론문법과 조선어학전서)의 문법 기술 변화 및 공통점/차이점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