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적 시각으로 통일정책 방향잡기
...다문화적 시각으로 향후 통일정책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다문화와 통일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지난 정부의 통일정책 변화를 검토해 본 후, 앞으로 우리 정부가 통일정책을 추진하는데 고려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다문화시대에 살고 있는 현실상황을 고려해 볼 때 현재의 통일정책이 좀 더 전향적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남북관계의 악화는 안보불안으로 이어진다. 악화된 남북관계 때문에 우리의 국가적 역량을 불필요하게 허비한 때가 많았다.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향상되면 우리의 국가적 힘을 정말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적 시각의 핵심은 인정, 이해, 소통 그리고 통합이다. 남북한이 서로를 인정하고 이해해 주며 소통해야 남북통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다문화적 시각을...
[학술논문] 북한 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 전망과 과제 – 디아스포라와 다문화 논의를 중심으로
... 복지, 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고 한국내(內) 사회통합이라는 사회문제를 대두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통합을 주제로 디아스포라와 다문화 논의를 중심으로 접근을 시도하고 하고자 한다. 기존 접근법은 북한이탈주민의 입장에서 한국의 정부, 지자체, 시민단체가 어떠한 정책을 수립, 시행할 것인가에 대해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은 사회통합의 대상이지만 국제이주라는 측면과 이주국의 이들에 대한 다문화적인 수용이라는 입장은 새로운 시각의 연구주제로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디아스포라와 다문화 논의들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통합 문제를 접근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시도함으로서 기존연구에서 벋어나 보다 객관적인 형태의 사회통합논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학위논문] 평화학 기반의 통일교육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사고는 적대자상의 범위를 축소시킴에 불과하다. 또한 도와주어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는 ‘인민’을 바라보는 시각은 통일 이후 북한 사람들을 2등 국민으로 보는 관점을 형성시킨다. 우리가 우위에 있다는 사고의 해체를 통한 ‘더불어 살기’ 개념이 요청된다.
다섯째, 평화감수성이 기반이 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통일’과 ‘다문화’는 학계에서 마치 다른 영역인 것처럼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학제 간 연구, 학문 간 경계를 허무는 평화학적 논의는 통일 문제,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를 다문화적 소양으로 환원시킬 가능성을 열어준다. 나와 다른 ‘타자’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학술논문] 통일교육에서 상호문화역량 신장에 대한 고찰 - 북한이탈청소년 문학을 중심으로 -
...다양하겠지만 본고가 주목한 것은 통일 이후 한반도의 다문화적 사회 현상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평화적으로 살아가야 하는 통일 한반도에서 상호문화역량은 필수 역량이다. 또한 북한이탈청소년 문학을 통해 상호문화역량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통일 감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고가 상호문화역량 신장을 위해 북한이탈청소년 문학을 제재로 활용하고자한 것은 현재 남한 청소년들이 통일과 분단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에 통일 감수성이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통일교육에서 북한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다. 다만, 전쟁 세대가 아닌 청소년 학습자들에게 남한 중심적인 관점에서 북한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만 강조하는 것은 오히려 통일 의지를 반감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