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대비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방안
...있다는 평가가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남한의 환경보호법제를 중심으로 통합하되 장기적으로는 남한과 북한의 상황을 절충한 제3의 법질서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계적․점진적 환경법제 통합 및 적용방안 마련을 위해 우선은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에 앞서 남한의 환경법제 선진화 방안으로 우리나라 환경헌법의 논의 과제 및 환경행정법 정비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동서독 통일 과정에서의 환경법제 통합사례를 검토한 후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셋째 남북한 교류협력에 의한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방안 및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법제통합 논의 시 사전 준비된 로드맵에 의해 이행되어야 하겠다. 북한의 급변사태시 헌법 제3조의 해석상 우리 법을 북한에 적용하는 것은 법리적으로 문제되지...
[학술논문] 남·북한 형법 통합을 위한 원칙과 방안
South korea, being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nation, is having 67th anniversary of division, and 70th anniversary of independence. Because it has been more than 100 years of confrontation, there are lots of difference in politics, law, economics, cultures, and even languages compare to North at present. In the case of Germany, even though they were divided as almost same period as Korea, they
[학위논문] 통일한국의 행정체제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통일의 시나리오를 분석해 보고 돌발적 통일 상황에 따른 조직 및 기능모형을 논의함으로써 통일에 대비한 남북한 행정체제통합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통일 시나리오는 북한 리더십의 强性과 軟性, 한미 대북정책의 봉쇄와 지원이라는 구축에 기초해 합의형, 유도형, 자멸형, 충돌형 등 4개의 통일유형을 도출하였고, 돌발적인 사태 발생으로 인한 자멸형이나 유도형의 통일 상황에 대비한 행정통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법치행정, 민주행정, 점진적 구축을 통한 통합행정체제가 국민형성, 경제관리 및 발전, 사회관리 및 발전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위논문] 북한지역 경찰조직설계에 관한 연구 : 북한의 급변사태발생을 중심으로
...적절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준비에 필요한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경찰이 인식하고 있는 북한 급변 사태 시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문 조사하였다.
북한지역의 경찰조직 설계 모형은 북한의 급변 사태에 따른 사회적 혼란의 가중으로 경찰인력의 수요가 매우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경찰조직의 단계적 통합 방안은 크게 과도기적 통합단계와 법적 통합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경찰조직의 통합단계는 남한의 경찰조직 체제를 일시에 북한 전역에 확립할 수가 없기 때문에 북한의 경찰체제를 유지해온 조직 근간을 이용하여 남한의 제도를 이식하는 임시적인 과도기적인 통합 단계와 민주주의와 법치국가 이념 시장경제의 원리 사회복지국가의 구현 등을 근본원리로 갖추고 정부와 지방의...
[학술논문] 헌법과 통일법제 연구의 과거․현재․미래
...법제도적인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물론 그동안도 남북관계와 관련하여 단계적인 법제정비가 이루어져 왔지만 앞으로 남북관계가 진전함에 따라 관련 분야의 법제정비는 더욱 필요하게 될 것이다. 한반도는 분단이라는 특수한 사정에 의해 남북관계를 설정하는 데에 있어 일반적인 법적 관계 또는 법적 성격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운 특유한 법적 지위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한반도의 정세와 남북관계의 상황변화는 필연적으로 관련 법령의 검토와 변경을 필요로 한다. 남북관계의 변화와 함께 그 법제도적 관계에 대한 논의는 결과적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대북인식을 갖게 하였다. 북한의 법을 분석하여 북한을 이해하고 남북통합적 관점에서 남북한의 제도적 통합방안을 논의하면서 새로운 남북관계의 성격을 파악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