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시의 극장, 선동과 공감의 매개체 - 한국 전쟁 시기 북한의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
...전쟁 시기 공연의 감정 선동 효과에 대해 인지하고 활용하였다. 전쟁 초기 대규모 대회와 공연들은 검증된 레퍼토리, 친근한 가요를 통해 북한의 문화를 선전하는 동시에 동원을 이끌어내는데 기여하였다. 이 시기 공연은 극장 이외에도 민주선전실, 학교, 병원, 군부대 등에서도 진행되었다. 특히 이동연예단과 민주선전실의 공연은 전쟁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한 단막극과 전시가요 위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군인의 애국적인 면모, 전쟁 책임 소재, 후방 인민의 자세 등의 변화하는 정책을 반복 주입하였다. 또한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사회주의 국가에 공연단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한국전쟁 시기 북한은 극장과 공연을 감성을 통한 선동이라는 이중 전략의 매개체로 활용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공연형태들은 1950~6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