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주민의 외부 접촉과 대남 인식 변화
...진행되었다. 북한 정권은 이 과정에서 체제 유지를 위해 선전과 주민 통제에 노력했지만, 북한 주민들의 남한과 외부 접촉은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상층과 하층을 가릴 것 없이 남한과 외부 사회에 대한 접촉이 확산되고, 북한사회 각 지역, 각 계층에 외부정보 유입이 확대되어 갔다. 2008년 이후 남북관계가 정체되었지만, 북한 주민들은 해외 진출, 중국과의 다양한 교역, 외부 관광객, 남한 거주 탈북자 등을 통해 외부 사정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북한 주민들의 대남 인식 변화에 맞춰, 남한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 주민들의 민심에 보다 적극적으로 다가갈 필요가 있다. 방송 등을 통해 남한의 북한에 대한 협력의 의지를 설명하고, 다양한 사회문화교류 등을 통해 북한 주민에 대한 접촉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학위논문] 북한의 대남 인식변화와 남북한 관계 : <신년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위논문] 對北支援事業의 産業構造에 따른 類型別 硏究 : 14개 廣域地方自治團體를 中心으로
...공동으로 추진한 북한주민의 다제내성결핵환자 지원사업은 지속성이 요구되는 사업이라고 평가된다. N산업은 남북한 간 호혜적 사업으로 로컬거버넌스 관점에서 육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즉 남북 접경지역에서의 말라리아 공동방제 지원사업 등은 지속성이 요구되는 사업으로 평가된다.다섯째 지자체의 대북지원사업이 북한주민들의 실질적 삶에 도움을 주고 북한주민의 대남인식 변화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비용면에서 볼 때 대북지원사업에의 지출 비용이 많다고 하여 더 효율적인 사업이라고 볼 수는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제주특별자치도의 감귤·당근 지원사업의 경우 약 270억 정도이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일관성 협업성도 높았다. 그러나 효율적인 지원사업으로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단일 산업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