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中國歷史地圖集』의 戰國時期 燕 長城 고찰
...건너 한반도 중북부지역까지 연결시킨 燕 長城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학술적인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地圖集』에 제시된 노선도는 그 근거에 대한 역사적, 고고학적인 뒷받침이 없어, 학술 자료로 이용하기엔 문제가 있다. 더욱이『地圖集』출간이후1987년 북한에서 조사 보고된 이른바 대령강장성은 그 노선도에서『地圖集』과는 달라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의 중국학자들은 대령강장성을燕 長城유지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대령강장성에대한 고고학적인 조사결과 燕 長城이라고 파악할 학술적 근거가 충분하게제시되지 않았다. 특히 燕 長城의 東端이라고『地圖集』에 특별히 표기된‘滿潘汗’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비정에 문제가 있다. ‘滿潘汗’과 관련하여 제시된 박천지역의...
[학위논문] 허헌연구 : 북한정권 수립과정에서의 허헌의 역할
...업적을 남기게 되는데, 북으로 월북한 그는 그 곳에서 1948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그리고「최고인민회의」의장(의회 의장)에 선출되고,「김일성종합대학」초대총장이 되었다. 그러다가 ,그는 1951년 8월 16일 평북 정주에서의「김일성종합대학」임시교사(校舍) 입교식에 참석하고자,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길을 떠났다가 홍수에 불어난 대령강 물로 인하여 그가 탄 배가 뒤집혀 익사했다. 그 당시 허헌은 김일성의 신뢰를 받을 만큼 북한사회에서 영향력이 큰 인물이었다는 것은 물론 그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성운동가인 허정숙의 부친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김일성의 허헌에 대한 신임은 그가 직접 그의 시체가 든 관을 직접 메고 안장하였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이처럼, 허헌은 북한 사회에서 최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