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앞뒤 모순적인 논리구조를 보이기도 한다. 통일대박론은 결과로서의 통일만을 강조하고 과정으로서의 통일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고 있다. 그러면서 북한급변사태와 함께 통일대박론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통일을 전제로 한 통일론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대북핵정책은 비핵화를 위한 우선적 조치를 북한에 요구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남북한의 교류도 비핵화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어렵다는입장이다. 협상에 의한 해결보다는 북한의 완전한 굴복을 강요하는 정책으로 실현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하겠다. 국방정책은 사드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 표출되고, 최첨단 무기를 적극 개발하면서 북한의 비대칭무기에 대한 역비대칭 무기체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는 북한에 대한 상대적 권력의 최220 동향과 전망 95호대화를...
[학술논문] 북한의 핵위협 분석과 대응전략
...억제전략에서 탈피하여 응징보복을 포함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억제전략을 구사해야 하며, 더욱 효과적인 억제전략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현재 구축중인 킬체인(Kill Chain)과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에 추가하여 역비대칭 전략의 확대버전도 구사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의 북핵 대응전략은 단순한 남북관계를 떠나 6자회담국에 해당하는 미국과 중국의 대북 핵정책, 일본과 러시아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또한 북한의 핵위협은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당면한 위협이며 시급한 선결문제라는 것이다. 북핵문제의 당사자는 한국이며, 따라서 우리는 북핵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토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북핵문제를 통찰하고 세밀하게 분석하여 그에 맞는 대비방안을 갖추어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위논문]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전략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의 핵개발동기로부터 시작하여 핵무기 개발과정과 현재의 수준 그리고 핵무기의 운반수단인 탄도미사일의 개발과정과 현재의 수준을 구명(究明)하고, 북한의 핵전략과 주변4강의 대북 핵정책을 분석하여 북한이 향후 선택할 수 있는 핵문제 해결방안에 대해 검토해 봄으로써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북한은 정권 수립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차에 걸쳐 체제위기에 직면했었다. 북한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핵무기가 완성될 경우, 북한은 방위력 확보와 전쟁억지력으로, 체제 안전을 위한 수단으로, 그리고 한반도 공산화통일의 수단으로 이용하려 할 것이다.
북한은 1992년 IAEA 사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