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안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2000-2016)
...181편의 학술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첫째, 지난 15여년에 걸쳐 국내에서 이루어진 대안교육관련 연구에서 연구대상별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대안교육관련 연구의 주요 연구주제나 영역은 무엇인가?, 셋째, 대안교육관련 연구의 연구방법상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등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에 있어서는 인가된 대안교육기관, 사립의 대안교육기관, 고등학교급 수준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일반 학생 이외의 부적응 학생이나 다문화학생․북한이탈청소년 등 특정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영역)별 분석 결과, 교육내용․방법 분야, 설립․운영 분야, 교육성과 분야, 기타 분야, 교육이념․철학 분야의 순으로 논문 수가 많은 것으로...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착지원 법제 개선에 관한 연구 : -제3국 출생 자녀를 포함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면서 특히 제3국 출생 자녀의 정착지원 개선방안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자녀가 겪는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고, 각종 정착지원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집행 행위의 근거가 되는 법제 개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연구방법론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와 그 가족인 북한이탈여성, 다문화 대안교육 기관의 교장, 관련 현장 전문가와 법조인 등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과 심층면접 등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정착지원 개선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질적 연구의 객관성을 보완하며, 공법적 이론을 중심으로 현행 법·제도의 문제점 분석을 병행하여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경험하는 생생한 현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