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주민의 정서 소통 기제로서 대중가요
...주민들에게 홍보하기 시작한 것은 김정일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2000년 10월에 북은 극도의 경제난인 ‘고난의 행군’에서의 승리를 선언하면서, 주민을 위무하는 정책으로 ‘음악정치’를 주창한다. 북에서 대중가요 해금 조치는 기존의 주체문예정책과 크게 어긋나므로 주민을 이해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다. 대중 잡지를 통한 홍보와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 교육이었다. 그리고 해금 이후 ①자료 발굴, ②노래의 특성과 음악사적 지위 논증, ③이론 및 자료집 출판 보급이라는 3단계로 적극적인 지원 사업을 벌인다. 계몽기가요와 더불어 남한의 대중가요는 북한 유흥문화의 틈새로 자리하면서 정책의 변화를 끌어냈다. 남한의 대중가요의 비공식적 전파 통로는 ①연변 조선족들에 의한 전파...
[학술논문] 해방 직후 북한 잡지 연구 - 미군의 ‘노획 북한 문서’ 소장 잡지들을 중심으로 -
... 노획문서는 6·25전쟁 중 미군이 조직적 또는 우연적으로 노획한 각종 기록물이고, 해방 이후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와 6·25전쟁 중 북한군의 동향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하고 방대한 문헌들을 간직한 그야말로 한국현대사 자료의 보고다. 이 글은 북한에서 나온 잡지 유형을 (1) 종합이론잡지, (2) 종합대중잡지, (3) 화보 잡지, (4) 시사 잡지, (5) 선전지, (6) 교양지, (7) 어린이 잡지, (8) 사회단체 발행 잡지, (9) 문예지, (10) 각 부문 또는 전문 잡지, (11) 학술지의 11개로 나누어, 각각의 발간 현황과 수록 내용, 성격 등을 분석했다. 발간 주체의 측면에서 북한 잡지들은 전문가 집단, 지식인 집단이 내용을 채우는 방식으로 잡지...
[학술논문]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 변화와 고구려사 - 『민족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수립기부터 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에서 문화유산의 발굴 및 보존에 관심을 두어 왔다.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은 김일성 시대에 근간이 만들어진 후 현재까지 대체로 유지되고 있다. 그 중 1980년대 후반 ‘조선민족제일주의’라는 구호가 전면을 등장하였음이 주목되며, 이 구호를 선전하기 위해 지난 2001년부터는 문화유산 전문 대중잡지로서 『민족문화유산』을 발행하고 있다. 『민족문화유산』의 목차는 주체성과 민족성의 고수라는 기본 원칙을 충실하게 이행하기 위한 방향으로 구성된다. 해방 이후 북한의 역사학계는 ‘고조선 – 고구려 – (발해) - 고려 – 북한’으로 이어지는 역사의식을 확립했다. 이를 반영하듯 『민족문화유산』 의 지면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