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성과 북한문화수용성 증진 -S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는 S 대학교가 통일시대의 리더 양성을 위해 신입생을 대상으로 2박 3일간 운영했던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실제로 창의성과 북한문화수용성이 효과적으로 증진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의 대학생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누락된 답안지를 제외한 165명의 학생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탈북 학생과의 직접적인 대화와 통일시대 갈등상황에서의 문제해결,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북한 문화 수용성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대학생 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며 창의성이 향상되는 리더십 프로그램을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형 리더십 프로그램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술논문] 대학통일교육 발전을 위한 모색- 대학생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고찰
... 현장탐방 및 비교과활동 형태의 체험형으로 진행되길 기대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향후 대학통일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대학사회내에 통일친화적인 교육환경을 구축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즉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통일관련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도록 정책적인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통일교육의 외연을 넓혀 인문교양교육으로의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강조하였다. 역사교육, 평화교육, 다문화교육, 인권교육, 인문학 교육, 리더십교육과 같은 교양교육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통일교육의 효과가 더 클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평생교육의 측면으로 연속성을 갖고 대학통일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