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에 대한 검토
...보이는데, 초석은 2열 혹은 4열로 배치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기둥구멍 내부에 설치된 초석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초석의 설치양상은 남한지역의 가장 이른 단계의 가락동유형 주거지와 돌대문토기 출토 주거지에서도 관찰된다. 이처럼 가락동식토기의 기원지로 여겨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2열 초석배치 주거지가 확인되지 않은 만큼, 필자는 ‘가락동유형’이라는 문화복합체에 ‘초석시설’이라는 구성요소가 추가된 것은 가락동유형 주민이 남한지역에 정착한 이후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돌대문토기 출토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초석전통이 압록강 중·상류지역 혹은 두만강유역의 초석전통에서 기원했던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것이 가락동유형 주거지에서 보이는 초석전통과 어떻게 관련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