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이후 동독 경제재건 위한 금융개혁 및 지원과 북한 지역 금융에 주는 시사점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금융이다. 통일 직후 동독지역의 경제재건으로 동서독 지역의 경제적 이질감을 극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였다. 이를 위해 동독지역의 금융개혁을 실시하여 시장경제가 확산되도록 하였으며, 동독지역의 인프라 구축과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금융지원시스템을 가동했다. 그 결과 동독지역의 경제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면서 서독 지역 경제수준까지 근접해 갔다. 동독지역 금융개혁의 기본 방향은 시장 경제적 금융제도를 구축하고 통화신용정책을 실시했으며, 동독지역에 맞는 새로운 지급결제제도를 구축한 것이다. 동독지역 금융기관을 새로운 상업은행으로 개편하고, 동독지역 금융시장을 개방하여 서독 및 외국은행의 진출을 유도하였다. 통일 직후 동독지역의 경제 및 산업 재건을 위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였다...
[학술논문] 독일 통일기의 고용과 직업교육훈련 정책: 남북통일에 대한 시사점
...통일과정에 대한 분석은 한국의 통일기의 고용정책과 직업교육훈련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통일기의 동독지역 인력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지만 현재 그 평가는 회의적이었다. 주요한 이유는 막대한 지출에 비해 고용이 단기적으로 미미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과도 있었는데, 서독으로의 이주를 억제하여 사회혼란을 억제하고 실업률을 감소시켰으며, 중장기적으로 동독 인력의 고용 경쟁력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통일한국의 직업교육훈련 정책 수립·집행을 담당하는 컨트롤 타워 구축, 직업교육훈련의 로드맵 마련, 북한지역의 경제재건 및 산업발전 계획과 연계된 정책 수립, 현장 중심의 실무적 교육훈련 방안 마련, 직업교육훈련 법과 제도 마련을 위한 전문가 컨소시엄...
[학술논문] 사회주의 국유재산의 재사유화 법제 - 통일독일과 헝가리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위하여 투자 우선을 내용으로 하는 일원화된 법률로서 “투자우선법”이 제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우선의 법제를 적용하는 절차상의 복잡성이나 혼란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반환의 원칙의 실현을 위한 소유권 관계의 규명의 문제는 투자우선법에 따른 ‘반환보다 투자우선’으로의 수정에도 불구하고낙후된 동독지역의 경제재건을 방해하는 큰 원인이 되었다. 통일 독일과 마찬가지로 헝가리 공화국 또한 사회주의 체제가 완성되기 이전에 소련점령법 및 점령고권에 의한 재산불법이 자행되었다. 초기 헝가리 의회는 제1차 보상법률에서 소련점령법 및 고권에 의한 재산불법의 문제를 ‘제외’하고 오직 헝가리 사회주의 헌법의 발효시점부터 자행된 재산불법을 범위로 하여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