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년대 북한 아동희곡의 주제의식 연구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자신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여 집단 또는 전체에 끼치는 피해와 고통을 다루는데, 장난과 놀이를 즐기거나 개인의 감정을 앞세우는 개인주의가 비판당하거나, 아동의 노동이 개인 차원을 넘어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집단 노동임을 강조하기도 한다. 북한 아동 교육의 측면에서 남한 비판과 북한 찬양은 동전의 양면인데, 전래하는 <수궁가> 계열의 서사가 변형된 동물우화극 <토끼이야기>는 ‘금강산’과 ‘남해바다’라는 구체적인 지명으로 말미암아 각각 북한과 남한을 선악의 이분법으로대비시키고 있다. <경남이의 죽음>은 주인공 소년 경남과 그의 가족이 겪는 시련을 통해 고통 받는 남한 민중의 시련과 갈등을 다루며, 남한 체제와 친미 사대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