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부유층이 앞 다퉈 일본행 여권을 신청한다는 당시의 사회상도 담담하게 전해 준다. 그렇게 해외로 도피했던 지도층의 자제들이 유명한 화가도 되고 건축가도 되어 돌아왔구나,라는 착잡한 생각이 들게 하는 기록이다. 입으로는 반미를 외치며 자기 자식들은 하나같이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고 있는 현재 좌파 정치인들의 행태도 돌아보게 만든다.
북한이 남침한지 127일 만에 탈환한 적의 수도 평양에서 이승만이 행한 연설도 흥미롭다. 우리는 한 형제요 한 핏줄이라는 강한 민족의식을 표출했는데, 이는 현재 한국 좌파 세력의 민족지상주의와도 맥이 닿아 있어, 좌파들의 이승만 지우기가 의아해지는 대목이다. 오히려 그것은 민족주의를 전체주의와 동일시하는 현 자유 우파들의 사상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흥미롭다.
[사회/문화]
...노동에도 죽거나 꺾이지 않고 면면히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은폐된 저항의’ 노동은 결코 다른 장소와 시간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공간과 시간상으로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다. 노동일상은 그것을 모두 포괄하며 구별하지 않는다. 그러나 또 하나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권력의 담론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사회주의 노동자들의 행태(行態)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사회주의 노동자들의 이러한 동일시 감정은 매우 복잡 미묘한 것이다. _366쪽
정치교육뿐 아니라 학교에서 이뤄지는 일상적 삶 속에서도 행위자들이 의무적으로 강제된 공적 시간을 자신들의 사적 시간으로 전유하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방과 후의 노력동원이나 집단등교에 관한 교사 출신 북한 이탈주민의 구술에서...
[학술논문] Rezeption und Umformung des westlichen Nationsbegriffes in Korea
... 그는 ‘people'과 'nation'을 ‘國民’으로, 또 'nation'을 ‘國家’로 번역하면서 서양의 근대 ‘민족/국민’ 개념과 흡사하게 ‘people', 'nation', 'state'를 동일시하였다. 이후 일본에서는 ‘國民’ 개념이 일본의 미래국가를 둘러싼 논쟁 속에서 투쟁개념으로 사용되면서 1890년대가 되면 정치적 기본개념으로서 확고히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개화파 지식인들은 ‘國民’ 개념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특히 후쿠자와의 제자이자 자신의 스승의 작품 『서양사정』을 모델로 『서유견문』을...
[학술논문] 박영호의 「등잔불」과 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의 담론 구조
...일본의논리일 뿐이었다. 이러한 수사가 사회주의 사상을 지닌 작가들에게 어필했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이것은 제국주의적 수사학에 좌파 작가들이 쉽게 동조할 수 있었던 대목이다. 카프 소속의 좌파 계열 작가들은 자본주의 비판과 일제 말 초국가주의 논리를 연결시킴으로써 교묘하게 친일로 나아갔다. 이 둘을 매개해준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내셔널리즘이다. 그것은 혈통적, 문화적 동일시에서 비롯된 내셔널리즘의 열정과 휴머니즘적 성격이 ‘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의 평화 담론, 이상주의와 맞물리는 지점이 되었다. 이것은 후에 북한으로 이어져 강력한 ‘사회주의적내셔널리즘’이라는 아이러니컬한 이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등잔불」은 박영호의이러한 변신의 담론 전환 경로를 잘 보여준다.
[학술논문] ‘조국’의 지리적 경계로서 휴전선과 냉전의 심상지리 - 이은상의 『피 어린 육백리』와 냉전의 감각 -
...어우러져 적과 아를 구분하고, 그 경험 속에서 결코 타협하거나 공존할 수 없었던 적들의 모습을 북한과 겹쳐서 해석해낸다. 이은상 기행문의 역사적 기억은 휴전선 저편의 적이 어떤 대상인지를 비유적으로 상상하게 하며, 절대로 용서할 수 없는 대상임을 각성하게 한다. 또 북진론을 주장했던 맥아더의 전쟁론이 가장 애국적이며 필요한 정책임을 알려주며, 맥아더의 전술이 혈맹으로서 미국의 입장으로 생각하도록 유도한다. 이은상의 기행문은 단순히 휴전선 너머의 북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자유진영을 구축하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다. 기행문의 서정적인 한시와 침략전쟁에 대한 비유적 동일시는 한국전쟁의 성격을 북한 괴뢰의 도발로 해석하고, 맥아더의 북진론 만이 혈맹으로서 자유진영의 전술이어야 한다는 전쟁인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서비스 갭(service gap)의 내적 요인으로서 장애인식과 태도: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제명의 대상으로 보고 있었다. 남한주민과의 비교연구를 위해(북한이탈주민 109명, 남한주민 124명), 집단별 장애인에 대한 인식, 부정적 태도, 긍정적 행동의도의 상관관계, 집단 간 차이, 집단별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주민에 비해 신체 및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이 낮았고 신체장애보다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낮았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장애에 대한 인식, 긍정적 행동의도는 남한주민에 비해 낮았지만, 장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더 높았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은 장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 중 접촉 시 긴장과 왜곡된 동일시가, 남한주민의 경우 접촉 시 긴장과 타 기능 제한요인이 장애에 대한 긍정적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학술논문] 핵협상 조건과 북핵협상의 재검토: 우크라이나, 리비아, 이란, 이라크, 인도, 파키스탄과의 비교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의 안보적 개발동기는 체제특성과 맞물려 협상을 어렵게 만드는 한편, 핵 보유 의지를 강하게 만들어왔다. 또한 북한은 협상대상인 핵 능력을 협상수단으로 과시한 반면, 참여국은 비군사적 수단을 활용하는 비대칭성을 보여 왔다. 북한에게 경제적 수단은 협상조건으로 약하며 안보적 수단은 신뢰의 문제가 있다. 북한은 실질적인 핵 보유를 통해 협상참여국들이 유인수단을 제시할 것이라고 오판할 수 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단계적 접근방식을 취하되 먼저 핵개발 중지와 관리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 유인책과 함께 북한의 안보수단인 핵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대북 억지력을 보유해야 한다. 또한 핵 보유와 안보보장, 핵 포기와 안보위협을 동일시하는 북한의 인식변화 방도를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