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발해 연구사 서술을 위한 새로운 접근 — 북한 학술지 목록화 사업 결과물을 활용한 내용분석
...데이터’의성격을 가진 북한 학술지의 논문 제목을 분석대상으로 삼았고;이에대한 통계적 분석과 초보적인 수준의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우선;정량적/개념적 내용분석의 일환으로 북한 발해사 연구 논문의 발간 현황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조선고고연구』와 『력사과학』으로 대변되는 고고학계와 역사학계의발해사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하고;고구려사 및 고조선사 논문의 발간 현황과의 비교분석도 진행하였다. 그 결과;2000년대부터 발해 논문을 수록한 학술지의 다변화가 일어났고;발해사 연구의 주요 주제로 여겨져 왔던 ‘계승’ 키워드의 논문들이 1997~98년도에 집중되어 있고;그 이후 발해 연구 담론을 주도하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없다는사실이...
[학술논문] 북한 인문학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표현’이라는 디지털 인문학의 특징을 체감하는 과정이었다. 첫째, 디지털⋅웹 환경이 보장하는 소통과 협업 가능성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질 높은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 개인연구의 집합으로서의공동연구를 넘어 데이터 수집에서 최종적인 시각화까지 생각의 과정을 함께 하는 공동연구를 지향했다. 디지털⋅웹 환경이 일련의 과정을 시각적으로 공유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왔다. 둘째, 선형적 글쓰기를 넘어서 인문학의 새로운 표현 방식을 시도할 수 있었다. 북한 인문학 아카이브는 연구자가 놓치기 쉬운 의미관계까지 포착하여 네트워크 그래프로 드러냄으로써 인간의 직관을넘어서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었다. 위키 문서 역시 하이퍼링크, 타임라인, 전자 지도 등 디지털⋅웹 환경 고유의...
[학술논문] 한국학에서 집단전기학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그 예로서 2011년 간행된 『조선력사인물』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사회주의 역사 서술의 출발점인 계급성에 더하여 자주성으로 규정되는 민족 담론을 결합시켜야 한다는, 주체사상 성립 이후 북한 역사학이 직면하고 있는 고민이 여러 인물들의 전기를 통해 표출되고 있다. 최근 서양 학계의 집단전기학 연구는 컴퓨터를 활용한 인물 자료의 전산화 작업에 기반하여, 지배층 위주의 사례 연구에서 일반 대중을 포괄하는 계량적 분석으로 이행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한국에서의 집단전기학 역시 디지털 인문학과의 결합을 통해 20세기 이후의 서구중심적 근대주의와 같은 지배적 담론 및 이데올로기의 계보 아래 구성되어 온 기존 역사 서술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론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학술논문] 한국 근·현대사를 바라보는 세밀한 시선과 담론의 좌표
...North and South Korea and understanding of the separation of the Korean people should be regarded as “today’s problems.” In the conclusion, I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historian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digital history concerning the outlook of history and to set the coordinates of discourse in adva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ignificant discourse in huma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