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관광]
...북한 땅의 이름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의 땅 이름에는 그곳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향취, 언어 등 고유의 문화가 담겨있고 삶의 역사가 새겨져 있다. 조상들의 지혜로운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지명은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인식되고, 이러한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지명을 바로 알려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 책에서는 평양시를 비롯하여 북한 지역의 시·군에 있는 8,000여 개의 지명 유래에 대하여 사료를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지명이 표기된 고지도와 최근 지도를 함께 수록하였다. 이번에 발간되는 지명유래집이 북한 땅의 이름을 올바르게...
[지리/관광]
...북한 땅의 이름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의 땅 이름에는 그곳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향취, 언어 등 고유의 문화가 담겨있고 삶의 역사가 새겨져 있다. 조상들의 지혜로운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지명은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인식되고, 이러한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지명을 바로 알려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 책에서는 평양시를 비롯하여 북한 지역의 시·군에 있는 8,000여 개의 지명 유래에 대하여 사료를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지명이 표기된 고지도와 최근 지도를 함께 수록하였다. 이번에 발간되는 지명유래집이 북한 땅의 이름을 올바르게...
[학술논문]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1945년 분단 이후 북한은 지명을 사회주의 혁명의 도구로서 이용하였고, 언어 정책의 일환으로 이를 관리하였다. 1952년 행정구역 개편과정에서 시・군・리 지명을 언어 관리 차원에서 바꾸었고, 1966년 지명조사 사업의 완료 이후 주체사상을 반영하면서 지명을 관리하였다. 지명의 전부 요소에 고유어와 인명을 이용한 지명이 적지 않게 등장하 였고, 후부 요소도 남한과는 다른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지명 관리의 일환으로 사전을 적극적으로 편찬하였다. 지명 연구는 사회성과 역사성을 반영한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연구 주제는 1990년대 이전에는 사회주의 지명을 찬 양하는 글들이 많아 발표되나 2000년대 이후에는 지역 내에서 지명 특성을 소개하는 글들의 비중이 높아졌다. 이 시 기에는 지명으로 학위를 취득한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이후의 지명 관련 자료집 편찬과 지명
...‘–里’로 단순화되기 이전의 모습을 보여준다.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에는 일제에 의해 단행된 郡․面․洞․里 통폐합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구한국 시기의 행정구역과 그 명칭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광복 이후 대표적인 지명 관련 편찬물은 한글학회의 『한국 지명 총람』이며 이를 사전화한 것이 『한국땅이름큰사전』과 『한국땅이름 전자사전』이다. 한글학회에서는 1960년 ‘한국지명 조사 사업’ 착수 후 남한 전역의 지명 700,000여 개를 수집, 정리하여 1966년 ‘서울편’ 간행을 시작으로 1986년까지 전 20책 편찬사업을 완료하였다. 이 자료는 지방자치단체의 지명지 편찬에 중요한 지침서로 활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