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푸틴 3기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변화하는 동북아에서의 적극적 역할 모색
이 논문은 푸틴 3기 적극적 실용주의적 대외정책 노선에 입각한 러시아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방향과 목표들을 러시아 외교의 지속성의 논리, 신동방정책과 적극적 실용주의, 러시아의 극동 개발과 양자 및 소지역 협력, 한반도문제와 동북아 다자협력 등을 중심으로 설명해보려는 시도이다. 2013년 2월, 대한민국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을 마지막으로 동북아 주요 여섯 국가들의 연쇄적 리더십 교체는 마무리되었지만, 미중경쟁과 중일갈등 그리고 북한문제 등으로 이 지역의 불안정은 심화되고 있다. 지역질서의 안정화가 절대적인 필요와 요구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는 과거 동북아 및 한반도에서 잃어버린 영향력의 회복을 넘어 역내 전략적 행위자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기 위한 적극적 실용주의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는 푸틴의...
[학술논문]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변화와 미래전
...4D작전[탐지(Detect)·교란(Disrupt)·파괴(Destroy)·방어(Defense)]의 적용이 하나의 사례다. 한국은 미국의 군사전략과 국익 변화, 중국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과 더불어 일대일로(一帶一路, 육ㆍ해상 실크로드) 구축,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러시아의 대한반도정책 변화 등이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해야 될 시점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의 세계전략을 포함한 동북아정책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르는 우리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미국의 군사전략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미래 과학기술력 트렌드 분석과 국방과학기술력 증진이라는 점에 주된 관심을 두고 우리의 정책대안 설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변화와 미래전
...4D작전[탐지(Detect)·교란(Disrupt)·파괴(Destroy)·방어(Defense)]의 적용이 하나의 사례다. 한국은 미국의 군사전략과 국익 변화, 중국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과 더불어 일대일로(一帶一路, 육ㆍ해상 실크로드) 구축,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러시아의 대한반도정책 변화 등이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해야 될 시점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의 세계전략을 포함한 동북아정책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르는 우리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미국의 군사전략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미래 과학기술력 트렌드 분석과 국방과학기술력 증진이라는 점에 주된 관심을 두고 우리의 정책대안 설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미국과 중국의 동북아 정책 분석: 역사와 현재 국제 현상을 중심으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유럽을 포함한 국제정세가 요동치고 치고 있고 이스라엘-하마스 전쟁도 이스라엘-이란 전쟁으로 확산했던 상황이다. 이 전쟁은 미국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시점에도 그 향방이 드러나지 않았으나 결국 트럼프는 재임 2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 러시아는 전쟁 승리를 위해 북한에 전쟁 지원을 요청했고 북한은 러시아에 전략물자와 전투 병력을 지원했던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동북아 국제관계에서 미국과 중국은 북한과 한국에 어떤 전략 의도를 갖는지 알아보는 것이 이 논문 목적이다. 즉, 미국과 중국의 한반도 정책이 북·러 협력에 따라 북·중·러 삼각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지와 한·미·일 삼각 협력이 이에 대한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알아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