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특성 연구Ⅱ
홍석중의 <황진이>는 다양한 수사학적 방법을 통해 독자를 설득하고 있다. 이는 황진이가 실존인물임에도 오히려 설화처럼 소문에 의해 전해 내려오는 신비로운 인물이기에 더욱 중요한 문제다. 그래서 무엇이 진실인지입증해야 하는 작가가 사용하는 용이한 방법인 수사학을 홍석중은 충분히활용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로고스에 집중하여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특성을 분석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이 발견된다. 첫째, 홍석중의 <황진이>는 리듬감 있는 단어와 대구법, 대조법을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소리에 따른 수사법을 사용함은 물론 문장조직에따른 수사법도 사용하고 있다. 이 두 수사법들은 리듬에 의한 설득 방법으로 수렴되고 있다. 둘째, 장엄체 문장과 두괄식 구성의...
[학술논문] 신화가 지배하는 정치체제, 북한
...김일성의 카리스마를 극복할수 없었다. 그러므로 북한은 여전히 김일성에 의존하는 정치체제다. 생존 시 기획된김일성 우상화 사업은 김일성 사망 후 신화창조과업으로 한층 강화된다. 여기에 ‘김일성 민족,’ ‘김일성 유훈’이라는 정치적 정당성을 부여한 후 내부 신념으로 구조화가 시도된다. 신화가 확대 재생산되고, 김일성을 경험하지 못한 북한의 미래 세대에게 김일성 신화가 주입되고 있다. 이 상황은 신화적 담론, 뮈토스가 무미건조한 로고스를 풍부하게 만드는 순기능(順機能) 현상이 아닌, 정신의 자율성과 인간 지성을무시하는 정신적 폭력과 다름없다. 결론적으로 기독교와 불교 등 종교를 박멸(撲滅) 한 사회주의 북한은 역설적으로 오늘도 신화에 기대어 권력의 생존을 도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