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우철 시 평가 양상을 통해 본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 -‘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를 중심으로-
...1959년판 문학사는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주제를 중시하였고, 도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비판 ‧ 풍자 작품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평가가 가능했다. 둘째, 1978년판 문학사부터는 주체문예이론이 공식화됨으로써 수령 칭송 주제와 항일혁명 주제가 강조되었다. 이는 1967년 유일사상 확립 이후 김일성 권력의 절대화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모든 북한 문학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민족 해방 및 건설의 감격으로써 토지개혁의 의의와 수령 형상 주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로써 1959년판 문학사 서술이 마르크스 레닌주의 방법에 기초하여 카프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면, 1978년판 이후 문학사 서술은 주체 방법에 기초하여 항일혁명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의 사회주의사상의 전개와 북한헌법에의 영향 - 이른바 주체사상 및 선군사상과 관련하여 -
...결과적으로 2012년 4월에 김정은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등극함으로서 김일성 혈통가계를 다시 이어가게 되었다. 김정은에게 있어서 군사정부체제는 당분간 권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버팀목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정은은 앞으로 북한주민의 사상적 이념을 어떻게 결집시킬 것인 가라는 문제도 안고 가게 될 것이다. 북한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념으로 정권이 이루어졌고,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신하는 이른바 주체사상 내지 선군사상이라는 이념으로 지금까지 북한주민을 사상적으로 결집시켜왔다. 그런데 할아버지 김일성이 아버지 김정일에게 권력을 세습하여 주기위해 고안하였던 선군사상은 더 이상 김정은에게는 사상적 유산이 되지 못한다. 선군사상은 주체사상의 실천원리로서 군부를 앞세워 사회주의사상을 지도한다는 이념이므로 잠정적으로...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인간중심철학의 대두을 중심으로
...종교정책이 철저하게 마르크스-레닌주의적인 인식에 기초하여 전개되었으나, 인간중심철학 대두 이후인 1972년 후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특징을 이루는 계급론적 요소가 희석되면서 적극적인 형태의 통일전선적 접근이 이루어져 북한종교단체의 등장과 대외적인 활동이 이루어졌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남북종교교류 협력의 새 토대 구축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북한의 주체사상은 60년대 이후 급격한 대내외 정세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김일성이 내세운 주체사상의 반사대주의 자주노선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후 주체사상은 단순한 정책적 지표의 차원을 넘어 철학적 사상체계로 체계화된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이 황장엽이다. 황장엽은 그 자신의 독특한 체험과 사유과정을 통해 마르크스-레닌주의 계급이론에 대한 근본적인...
[학술논문] 북한의 율곡 연구- 반동적 관념론자에서 선진적 사상가로
...연구-을 가진다. 둘째, 남한이 일제강점기의 서양철학에 기반 한 율곡 연구방법을 적극 수용하고 발전시켰다면 북한은 부국강병론과 사회주의에 기반 한 율곡 연구방법을 적극 계승하였다. 셋째 북한의 율곡연구는 1967년 ‘주체사상’의 등장,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기’ 2000년대 중반 등 세 시기에 집중적으로 등장하며 이것은 북한이 정치와 학문이 일치되는 사회임을 보여준다. 넷째, 해방 이후 성리학은 ‘중세 동양의 반동 사상’으로 규정되었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율곡은 진보적 교육가로 칭송되었고, 후루시초프의 스탈린 격하운동 이후 1967년 주체사상이 마르크스 레닌주의를 하위로 밀어내는 시기에 율곡은 애국애민의 ‘자주국방론자’로...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사회주의 사실주의와 북한식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변형인 주체 사실주의 창작방법으로 이어지고 민족주의 경향은 민족 고유의 특성을 절대 기준으로 삼아 문학 내용뿐 아니라 형식에서도 이를 발현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창작방법은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과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로 변모된다. 북한 역사소설은 기본적으로 사회주의 사실주의 창작방법을 지향하는데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노동계급의 혁명 투쟁 요구를 반영한 혁명적이고 전투적인 창작방법이다. 북한에서 1967년 이전에 지향했던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마르크스 레닌주의에 기초한 유물변증법적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창작방법을 기초로 하는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역사적 시기의 계급과 계층들의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