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과 개념, 맹세하는 육체의 언어들 ― 미군정기 한국의 언어정치학, 영문학도 시인들과 신어사전을 중심으로
...분석에 기반하여 일종의 정치적 맹세로 유도되는 경향을 보인다. 소위 선도 개념을 통한 기대 지평의 확보가 이들 언어의 특징이다. ‘역사에서 정치적 약속의 기초’를 이루는 이 이즘의 어휘들은 일종의 코뮨, 즉 ‘맹세로 맺어진 결사’들을 만들어냈다. 해방기 내전적 상황이 친일과 부일협력과 같은 과거(처리)의 약속과 각종 주의가 포함하는 미래의 행동(지침)들이 결합하는 ‘맹세’의 세계라 할 수 있다. 사회주의, 공산주의, 민주주의와 같은 맹세의어휘들은 당대에 있어 여러 ‘우리’들의 결사체에서 시작해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힘’이자 기대지평의 경합이라는 상황을 연출했다. 이 맹세의 언어는 口號 즉 살아 있는...
[학술논문] 모란봉악단 ‘신작음악회 공연’ 의미와 시사점
...시대의 한 단면을 보다 명확히 찾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모란봉악단이 신작음악회에서 선보인 신곡들의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작음악회의 신곡과 공연구성이 의도하는 정치적 의미를 살펴보고 북한체제의 특성을 연계하여 시사점을 살펴본다. 이번 공연에서 발표된 곡들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김정은 찬양과 충성맹세를 담은 곡 둘째, 당의 정책을 반영한 곡, 셋째, 북한체제 결속력 향상을 위한 곡, 넷째, 북한의 혁명투쟁을 상기시키는 곡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모란봉악단 공연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북한문화예술 분야의 특성은 물론 북한 정치와 문화의 연관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논의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미국이 보는 통일과정 및 통일이후의 한미일 관계 발전방향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한반도 통일을 외교 전략의 중심적 기조로 채택했다. 모든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맹세하면서도 박근혜 대통령은 반복적으로 북한정권에 관여하려 하였다. 이전 한국 대통령들과 마찬가지로, 긴장을 완화하고, 북한의 공격을 억제하며, 남북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북한과 대화를 모색하여 왔다. 그렇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전임자들 보다 더욱 통일을 심오하고 장기적인 목표보다는 손에 잡히는 단기적 목표로 만들었다. 북한이 특징적으로 통일 논의를 거부해왔지만, 박 대통령은 지속적으로 화해를 옹호하고 있다. 한국인들 가운데 반항적인 북한 동포와의 통일을 선호하는 비율이 줄고 있기 때문에 박 대통령은 주로 내국인들을 상대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수 있다. 통일이 한국 경제에 “대박”이...
[학술논문] 북한 김정은 체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과 수록 제재의 특성 분석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는 제재가 증가했다. 이는 체제 유지를 위한 이데올로기 강화에 공헌했던 이전 교과서의 제재와는 다른 지점이다. 둘째, 김일성과 김정일 우상화를 다룬 제재가 대부분 삭제되었으며, 최근 북한사회의 발전상과 긍정 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는 제재가 다수 등장했다.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노골적인 어조의 제재는 삭제하였지만, 김정은의 치적 찬양이나 충성맹세에 대한 언급이 학습 도우미를 통해 추가되었다. 이는 교과서 제재의 질을 제고하면서도 김정은 체제의 안착을 추구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동화나 동요, 이야기를 제시할 때 작가명을 병기하였다. 이전 교과서에서 김일성이나 김정은 이외의 작가를 표기하지 않던 모습과 대별된다. 이는 교과서 내용적 측면에서도 김정은 시대를 이전 시대와 구별 지어 김정은 중심의...
[학술논문] 북한의 2013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 교과서 구성 체제 비교
...교과서의 구성 체계를 비교하였다. 일반중학교 초급중3, 고급중2, 고급중3, 제1중학교 고급중1, 고급중 3 이렇게 5종을 선정하여 개정 전 교과서와 비교한 결과, 개정 후 교과서는 첫째, 외형과 삽입 그림에서 이전과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전의 흑백의 소박한 교과서 구성을 벗어나 칼라로 인쇄되었다. 둘째, 머리말에 이전까지는 없었던 김정은에 대한 충성 맹세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개정 전에는 읽기, 쓰기 기능에만 치중한 반면 개정 후에는 듣기, 말하기 기능을 포함한 영어의 4기능을 고루 강조하고 있다. 넷째, 개정 전 교과서는 학교급별로 통일성 없이 학년별로 서로 다른 활동 제목을 사용하던 것에서 벗어나 개정 후 교과서는 학교급별로 구성체계를 통일성 있게 따르고 있어 개정 전 보다 체계적이고 연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