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정 설화에 내재된 전통적 가치와 ‘이야기의 소설화’ - 황순원 ≪일월≫ -
장편소설 ≪일월≫은 백정이라는 신분적 차별 문제와 인간의 숙명적 고독의 문제를 뛰어넘어 당대 남한사회와 관련된 보다 본질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를 이 작품의 세 가지 서사층위와 관련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서사층위는 상진영감과 나미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지는 1950년대 말 남한사회와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서사 층위를통해, 남한사회는 전통적 가치는 사라지고 물질적이고 소비적이고 향락적이고 퇴폐적이고 감각적인 서구문화가 지배하는 사회이며, 인간관계 또한지극히 이해타산적이고 계산적이며 개인주의적임을 비판한다. 따라서 이서사층위는 남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는 ‘소설’ 본래의 영역에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서사층위는 본돌영감을 중심으로 해서 펼쳐지는
[학술논문] 북한의 호전적 수사(修辭)에 대한 외신 보도에 나타난 번역적 특징
Since Donald Trump was sworn in as the 45th President of the U.S. in January 2017, ‘war of word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reached a climax in the period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that year. The North's state and private media outlets poured out aggressive rhetoric mostly toward President Trump in the name of a newspaper commentary and government statement. Most of these
[학술논문] 미국 국립기록관리청(NARA) 소장 북한 노획 대형 포스터의 기록화 스토리텔링 -1945~1950년 제작된 대형 포스터를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쟁 중 미군에 의해 평양에서 노획된 북한 의 대형 포스터를 기록학적 관점에서 소개한다. 이에 더 나아가 이 기록의 소장기관인 미국 국립기록관리청의 메타기록 이상의 역사 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기록화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형 포스터의 이미지와 텍스트를 북한 초기 형성의 역사적 맥락 에서 분석해 본다. 이 기록은 북한 초기 국가 형성 시기인 1945년 부터 1950년 사이에 북한에서 제작·유포되었던 대형 포스터이다. 본 논문의 궁극적 목적은 이 기록의 비서사적인 메타기록과 이 기 록에 함의된 역사적 가치를 분석하고 재현해 보는 서사적인 측면 모두를 다루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이 기록에 대한 다른 연구 자들의 다양한 해석과 끊임없는 담론화를 형성하여 기록의 가치를 지속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