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태준, 남로당 빨치산 문학의 기원 -그 미학적 특징과 정치적 논쟁점을 중심으로-
...<첫전투>의 결론을 바꾸었다. 예를 들어 <첫전투>의 초간본은 남로당의 유격전술에 대한 그의 부정적 입장으로 인해 유격대 투쟁이 실패하는 것으로 묘사하지만, 재간본은 당의 공식적인 문학노선과 타협하여 유격대 투쟁이 승리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이런 타협에도 불구하고, 두 판본에 공통된 ‘몰락의 정서,’ 혹은 ‘멜랑콜리’는 유격대 전술에 대한 그의 회의적 전망을 여전히 암시하고 있다. <고향길>은 ‘절대적 적에 대한 절대적 전쟁’이라는 냉전적 대립 구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김일성을 애국심의 원천으로 보는 공식적인 ‘당 문학’ 노선으로부터의 일탈도 보여준다. 한국전쟁기에 북한 문학자들 사이에는 조선 인민이...
[학술논문] 이태준, 남로당 빨치산 문학의 기원
...<첫전투>의 결론을 바꾸었다. 예를 들어 <첫전투>의 초간본은 남로당의 유격전술에 대한 그의 부정적 입장으로 인해 유격대 투쟁이 실패하는 것으로 묘사하지만, 재간본은 당의 공식적인 문학노선과 타협하여 유격대 투쟁이 승리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이런 타협에도 불구하고, 두 판본에 공통된 ‘몰락의 정서,’ 혹은 ‘멜랑콜리’는 유격대 전술에 대한 그의 회의적 전망을 여전히 암시하고 있다. <고향길>은 ‘절대적 적에 대한 절대적 전쟁’이라는 냉전적 대립 구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김일성을 애국심의 원천으로 보는 공식적인 ‘당 문학’ 노선으로부터의 일탈도 보여준다. 한국전쟁기에 북한 문학자들 사이에는 조선 인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