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ㆍ북한ㆍ중국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 비교 연구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의 차이는 주로 그 발음법 구성상의 차이, 총칙의 차이, 모음의 발음과 자음의 발음의 차이 등이다.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의 구성을 보면, 모두 자음, 모음과 관련된 발음, 받침과 관련된 발음, 동화 현상에 관련된 발음, 경음화 현상에 관련된 발음, 사잇소리 현상에 관련된 발음 등과 같은 내용이 있다. ‘음의 길이’에 관련된 내용은 남한과 북한이 있고 중국 조선족은 없다. 단어 첫소리 ‘ㄴ, ㄹ’의 발음과 관련된 규정은 북한과 중국 조선족이 있고 남한이 없다. 총칙의 차이는 주로 표준 발음의 기준, 즉 표준어의 기준 차이에 있다. 남한은 현대 서울말을 표준 발음의 기준으로 하고 북한은 평양말을 표준 발음의 기준으로 하며 중국 조선족은...
[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로 본 말소리 교육 비교
본고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말소리 교육을 비교하고 방법적 측면에서의 차이를 살피는 것이다. 우선 말소리의 단위와 관련하여 남북한 모두 자음 19개와 모음 21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지만 남한은 분류 기준에 따른 음운의 체계화에, 북한은 발음의 차이에 따른 말소리의 구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말소리의 변동 역시 내용의 큰 차이는 없지만 남한은 기저형과 표면형 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음운 변동을, 북한은 표기와 발음 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음운 변동을 주로 제시하고 있다. 결국 남북한 말소리 교육은 다루고 있는 교육 내용뿐만 아니라 방법적 측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통일 시대 말소리 교육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문법 교육의 실용성을 강조하고, 실제적인 말소리에 주목하고 있는 북한의...
[학술논문] 남북의 외래어 표기 비교 연구 -외국 국가명 표기를 중심으로-
... 사례에서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는사례가 빈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북의 외국 국가명이 완전히상이한 경우도 약 9% 발견되었는데, 이는 남북에서 채택하는 원어가 상이하여표기도 상이한 경우와, 남과 북에서 국가명을 지칭하는 방식 자체가 상이하여 표기가 상이한 경우가 있었다. 남과 북의 외래어 표기에서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거시적으로 채택 원어의 차이와 채택 발음의 차이라는 두 가지의 원인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미시적으로는북측의 규정과 괴리가 있는 관용적 외래어 표기의 사용, 북측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지 못하는 규정 때문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남북의 상이한 표기 체계를 검토하고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표기의 이질성을 점검하였다는 데서 향후 남북의 정서법 통일이나 조정의 논의에서가치 있는 기초...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대상 한국어 발음 양상 및 인식 연구
...한국어 발음 실현 양상 및 인식을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발음 교육 지원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 정착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에 북한이탈주민 7명, 이들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및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9명을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남북의 발음 차이, 남한 정착의 어려움 및 한국어 발음 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 언어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한자어와 외래어 사용, 억양 차이, 단어 차이, 언어예절과 화법 차이, 발음 차이, 심리적 위축감’이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발화 차이는 자음과 음운규칙에서 크게 나타났고 모음은 약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