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책선호가 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 제19대 총선을 중심으로
...연구는 우리나라 국회의원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책선호가 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난 제19대 총선 약 1개월 전에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일자리, 세금, 환경, 그리고 대북정책 등 4가지 정책 사안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가 총선에서 지지하는 정당을 결정하는 데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정책 사안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와 더불어, 각 정당의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다. 분석결과는 정책에 대한 고려가 출신지역, 나이, 이념,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 등과 함께 정당 지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정책에 대한 고려는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뿐만 아니라 무당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논문] 미국 유권자의 대북 위협인식과 투표행위 분석: 2018년 중간선거 설문 데이터를 중심으로
...의향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미 유권자가 북한 문제 관심도가 높고 북한에 대해 느끼는 위협도가 낮을수록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가 높았다. 셋째;북한에 대한 위협을 적게 느끼는 유권자일수록 정파성과 상관없이 공화당 상원의원 후보에게 투표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북한에 대한 위협을 많이 느낄수록 민주당 지지자들이 공화당 지지자 혹은 무당파와 비교했을 때 공화당 상원의원 후보에 투표할 의향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대통령 선거가 없는 중간선거일지라도 북한 위협인식이 선거 결과에 중요한 요인이며;그 효과는 지지 정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즉;외교정책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원의원 선거가 시행되는 중간선거에서도 북한 문제가 유의미한 것이다. 요컨대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