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 형성의 헤게모니 정치: 최영진에 답함(1)
이 글은 ʻ아(我)와 비아(非我)의 헤게모니 투쟁ʼ이라는 필자의 정치 개념에 대해 최영진이제기한 비판에 대한 반론이다. 최영진은 (1) 헤게모니 용어의 다의성, (2) 헤게모니의 수립에 따른 새로운 우리 형성의 가능성, (3) 서로주체적 통합의 소망성 여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이 세 가지 문제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다. 먼저, 최영진의 견해와 달리, 좁은 의미의 헤게모니 개념이 ʻ동의에 입각한 리더십ʼ임을 보여준다. 동시에 정치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위해서 넓은 의미의 헤게모니 개념을 사용하자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우리 형성 문제와 관련하여 세 가지 주장을 한다. (1) 우리는 객관적 실체가 아니라 정치적 호명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주체다. (2) 우리는 균질적이고 단단하게 고정된 모나드(monad)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