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우철 시 평가 양상을 통해 본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 -‘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를 중심으로-
.... 그 결과,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59년판 문학사는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주제를 중시하였고, 도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비판 ‧ 풍자 작품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평가가 가능했다. 둘째, 1978년판 문학사부터는 주체문예이론이 공식화됨으로써 수령 칭송 주제와 항일혁명 주제가 강조되었다. 이는 1967년 유일사상 확립 이후 김일성 권력의 절대화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모든 북한 문학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민족 해방 및 건설의 감격으로써 토지개혁의 의의와 수령 형상 주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로써 1959년판 문학사 서술이 마르크스 레닌주의 방법에 기초하여 카프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면, 1978년판 이후 문학사 서술은 주체 방법에 기초하여...
[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향가
...고전시대의 향가라 해도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이론의 합목적적 기준에 맞도록 해석해야 했고, 그 핵심 내용인 ‘인민성에 기반을 둔 집단성, 계급투쟁, 반외세 투쟁’ 등에도 부합되어야 했다. 주체사상의 시기에도 문학사 서술의 기조는 앞 시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주체사상 자체가 정치ㆍ외교적 현실의 변화를 반영한 삶의 노선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견지해오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미학의 근본까지 변화시켜야 할 이유는 없었다. 주체미학을 문학사의 강령으로 내세웠음에도 앞 시기의 문학사에 제시한 작품 해석의 경향이 지속된 이유를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향가에 대한 북한문학사들의 해석이 비교적 정돈된 느낌을 주는 것은 향가들이 향찰이라는 우리 독자적 표기체계로 정착된 최초의 노래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면을...
[학술논문] 북한 문학사의 시각과 이광수 연구사 - 『조선문학개관』 이후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이 논문은 북한 문학사의 이광수 인식과 서술이 1986년의 저작을 기점으로 변모하는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미를 밝히려는 목적을 가진다. 북한 문학사는 남한의 경우와 달리 이광수와 그의 문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알려져 있는 편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면모를 살펴보면 배제와 부정에서 제한적 인정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 문학사는 분단 이후 1960년대까지 이광수와 그의 문학을 철저하게 배제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후 1980년경까지의 문학사에서는 이광수를 언급하기는 하나 ‘부르주아 반동문학’이라는 비판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1986년에 이르면, 북한 문학사는 이광수의 1910년대 소설에 한해 ‘부르주아 계몽문학’으로서 가치를...
[학술논문] 북한의 방정환 인식 변화 과정 연구
... 소년의 계몽과 헌신’에 기여한 비판적 사실주의 작가로 평가된다. 2년 뒤 1995년 8월호 『조선문학』에는 「근대 아동문학의 개척자 소파 방정환」이라는 글이 실렸다. 이 글은 북한 자료로는 방정환의 생애를 가장 폭넓고 친절하게 서술한 최초의 글이다. 이로써 우리는 적어도 ‘근대 아동문학의 개척자 방정환’을 기점으로 하는 통일 아동문학사 서술의 일단을 합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북한의 방정환 인식 변화는 향후 통일아동문학사 서술에서 긍정적 전망을 준다.
[학술논문] 중국 한국문학사 2종의 한국고전문학사 인식과 서술 양상: 남북한문학사와 자국문학사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못하다. 자국문학사의 서술 전통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둘째, 두 텍스트는 정치ㆍ사회ㆍ경제ㆍ문화 등 문학 외부적 요인을 중시하며 각 시대마다 ‘개술’에서 이를 따로 언급하고 있고, 본문에서도 인민성ㆍ현실성ㆍ민족성 등 ‘정치 표준’에 의거한 평가가 중시된다. 이는 사회주의 체제에서의 문학사 서술에서 자주 쓰이는 방식이며, 북한 15권본도 비슷한 형식을 보인다. 셋째, 두 문학사는 중국학자가 쓴 한국문학사이기 때문에 중국문학과 한국문학의 연관성에 주목하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小品ㆍ樂府ㆍ寓言ㆍ說唱ㆍ史傳 등 장르 용어는 중국문학 용어를 많이 활용하였다. 그러나 중국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장르 용어로 한국문학을 설명할 때, 본래의 의미와 변화된 의미 사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