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슬람문화 내에서 태권도의 역할과 가치
...이슬람문화에서는 이례적인 일이고, 이슬람 국가에서는 매우 낯선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태권도에서의 ‘차렷’, ‘경례’ 등의 용어와 함께 시리아에서 태권도가 남녀노소 누구나 수련하는 태권도가 될 수 있었다. 특히 시리아 태권도선수들이 국제무대에 출전하게 되면서 시리아 문화개방의 촉매역할을 하게 되었다. 결국 태권도의 이러한 역할이 이슬람 문화에서는 전혀 고려될 수가 없었던 새로운 문화를 정착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태권도 수련은 비록 하나의 몸동작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대한민국의 태권도는 이슬람문화의 벽을 넘어 시리아인들에게 그들의 조화로운 삶을 위한 훌륭한 도구이자 국위선양의 커다란 가치를 지닌 문화가 되었다. ※ 주제어: 시리아, 이슬람문화, 문호개방, 문화교차, 태권도, 가치
[학술논문] 한국대외정책의 정책기조 전환에 관한 연구:6.23선언과 정책의 실효성 상실 여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대외정책에 있어 혁신적인 정책전환이 발생한 경우들과 관련하여, 정책의 전환을 초래하게 만든 요인을 모색하는데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외교에 있어 큰 전환점이 되었던 사례들 중에서 Hallstein Doctrine을 포기하면서 사회주의 국가들에게 문호를 개방하고, 국제기구에서 남북한이 함께 가입하고 활동하는 방안을 수용한 6.23선언에 주목하였다. 특히 6.23선언은 이후 북방정책과 UN가입, 남북정상회담 등을 가능하게 만든 한국외교의 의미있는 정책적 전환점이었다는 점에서 분석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6.23선언이라는 정책적 전환을 통해 확보하고자 했던 한국외교의 전략적 이익이 무엇이었는가를 분석하는 동시에 정책전환이 발생한 시점이 왜 1973년 6월이었는가 하는 점에...
[학위논문] 南北韓 統一政策에 관한 硏究
...施政方針’에서 보듯이 남북간의 經濟. 科學. 文化. 敎育. 交通. 遞信분야에서의 交流와 合作의 증대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機能主義的 요소가 배제되고 있지 않다. 또한 남한의 통일정책이 다방면적 교류확대의 波及效果(spillover)의 축적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機能主義的 요소가 강하나(20개 시범실천사업, 7.7선언의 남북동포간의 상호교류, 이산가족의 왕래, 교역문호개방 등), 生活圈의 統合이 정치권의 통합으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고 看做하지는 않는다.
南韓의 통일정책은 非政治的 영역에서의 統合이 政治的 영역의 統合으로의 發展을 주도할 수 있는 人爲的인 機構(남북정상회담. 남북각료회의, 남북평의회, 공동사무국 등)의 組織을 具體化하고 있다는 점에서 機能主義 옷을 입은 聯邦主義의 성격이 강하다고...
[학술논문] 남북문화 동질성 회복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 고찰 (5) - 남북한 서예문화교류 현황분석 및 국제관계에서 공동 대응방안 모색
...계기가 된 것이다. 셋째, 남북한·재외동포들이 모두 서예문화를 한민족 공동문화유산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향후 남북한 서예문화교류에 귀한 근거로 작용할 것이다. 넷째, 남북한 서예문화교류는 정치·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와 밀접하게 얽혀있어, 기타분야와 긴밀한 협력관계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남북한 서예문화교류 문호개방에 여성들과 민간단체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였다. 여섯째, 재외동포가 남북한 서예문화교류에 있어 완충적 역할을 하였고, 이들의 서예작품에 남한풍이 많이 가미되어 향후 가교적 역할이 기대된다. 일곱째, 북한이 외화벌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작품상품화’ 사업이 남북한 서예문화교류에 주요한 연결고리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서예문화...
[학술논문] 지정학자 맥킨더(매킨더)가 바라본 열강의 외교전략과 러일전쟁 -‘심장지대’와 대륙・해양 세력과 내부・외부초승달 이론을 중심으로-
...러시아가 슬라브민족의 지배를 둘러싸고 동유럽의 분열을 촉발시켰다고 판단했다. 또한 유라시아대륙의 대립은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인 영국과 러시아가 분열을 초래했다. 한편 맥킨더는 한국의 운명을 결정한 러일전쟁에 대해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인 러시아와 영국의 대립적인 시선으로 파악했다. 맥킨더는 러일전쟁 당시 영국이 러시아를 견제하는 측면뿐만 아니라 청국에 대한 문호개방 즉 경제적 이권 때문에 일본을 지원한 측면이 있었다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맥킨더는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러시아의 영토로 확장한다면 황화가 세계의 자유를 위협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런데 맥킨더는 내부 초승달 지역 중 유일한 태평양 지역의 교두보인 한국을 지정학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한국에 관한 보호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다. 단지 맥킨더는 해양세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