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구・경북지역의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고 학교생활에 익숙할수록 남한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경향이 강하지만 북한에서 태어난 학생의 경우는 남한문화를 거부하려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편이며, 영역별로는 교사와의 관계와 학교환경의 만족도는 높은 반면에 학습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와 문화변용 유형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유형 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탈북한 국내이주 청소년에 대한 기존의 획일적이고 단기적인 교 육위주의 지원정책에서 탈피하여, 문화변용차원의 계층별・속성별 수요를 반영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정책으로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의 결정요인: 개인적 특성, 가족요인, 친구요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및 관계적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3세 이상 24세 이하의 탈북청소년 12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탈북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은 주변화(30.2%), 동화(26.4%), 분리(25.6%), 통합(17.8%)순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문화변용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 중에는 출생국이 문화변용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출생 탈북청소년은 중국출생 탈북청소년과 비교해 다른 유형보다는 동화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컸는데, 북한출생의 경우 동화, 주변화, 통합, 분리유형 순으로, 중국출생의 경우 분리, 주변화, 통합, 동화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