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및 제3세계에서의 한류 수용 경험과 한국 문화 적응 : 탈북청년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탈북자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여 탈북자들의 한국대중문화콘텐츠 수용의 선경험이 이후의 한국사회적응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특히 탈북자의 시기적, 공간적 차이를 고려하여 북한거주 시, 제3국 체류기간, 입국 후 조사과정 기간 등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탈북자의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수용 방식을 고찰했다. 또한 한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탈북자들이 적응 과정에서 느끼는 심리적 갈등과 스트레스, 탈북자의 의식을 측정했다. 연구결과, 탈북자의 탈북과정의 시간적 추이별로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수용 양상이 다르다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한국사회적응의 세부구성요소와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음이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 연구들이 탈북자의 입국 이후의 정착 시기에서 한국의 대중문화콘텐츠의
[학위논문] 통일비용·통일편익 추정에 관한 연구
...한계자본산출계수가 커질수록 통일비용의 규모는 커지는 경향을 보이며, 통일편익의 경우는 투입기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통일비용과 편익을 구성하는 항목의 선정시 계량화가 가능한 수치에 한정된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는 통일편익 중 계량화할 수 없는 사회·문화적인 접근, 통일된 국가의 이미지제고 등과 같은 항목이 누락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현재가치분석에서 적용되는 할인율에 대한 논의는 본 연구과정에서 다룰 수 없었던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One of the central issues in the estimation of Korean unification cost is whether there exists a consen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