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물류 신거점을 위한 경제자유구역의 역할
...시장 환경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물류기능의 활성화를 위해 우리나라가 동북아물류의 새로운 거점형성의 정책목표를 달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는 역할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 논문은 선행 연구된 기존의 문헌연구를 토대로 동북아의 물류 거점 확보를 위한 중국 중심의 정책과 한국의 경제자유구역을 통한 동북아 물류의 허브 방안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중국의 동북아물류 거점 확보를 위한 전략과 정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경제자유구역에 대해 현황 및 구체적 내용들을 고찰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한국이 동북아 물류의 새로운 거점이 될 수 있는 경제자유구역을 통한 역할을 제시하면서 제5장에서는 결론을 맺었다. 결과: 한국은 최근 동북아지역의...
[학술논문] 국제철도 물류거점 구축에 따른 경제적 효과: 호남권을 중심으로
남북한 상황과는 상관없이 TKR과 유라시아철도 연계는 항상 높은 우선순위 정책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장래 국제철도 물류거점이 호남권에서 최소 1곳 이상 조성된다는 가정에서 이 지역의 국제철도 물동량과 경제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물동량 예측을 위한 경쟁 수단은 해운과 철도로 국한하였고, 기존 항공 물류는 고려하지 않았다. 호남권의 수출입 물동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체 수출입 물동량 중 7.4%를 차지하며, 광주, 전남, 전북으로 구분하면 각각 18.6%, 51.2%, 30.2%이었다. 유라시아 철도 노선 이용 시 기존 해상운송보다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효용성이 더높은 국가로 국한할 때 수출입 물동량은 호남권 전체의 14.5%(182,147TEU/년)로 한정되었다. 여기에 수단별 운송 시간과 운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