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한·중 협력
...고구려사 왜곡, 한반도 통일 등 현안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구체적이고 중장기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보다 전향적인 입장이 요구되고 있다. 한·중간 군사교류·협력도 양국 관계의 전반적인 추이를 반영하고 있다. 군사·안보분야는 타 분야에 비해 진전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북한, 한·미동맹, 그리고 미·중/중·미관계에 영향을 받고 있고, 향후 이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더욱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나, 한국은 평시 대중국 군사신뢰구축방안(MCBM)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향후 중국과의 우호적 협력관계 지속, 한반도·중국 국경간 공동개발안 제시, 양국간 우호협력조약 체결 등을 제의할 필요가 있으며, 북한내 비군사적 사태 발생 가능성과...
[학술논문]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미·중관계와 북한의 안보위협 인식
이 글의 목적은 미·중관계 변화 속에서 북한이 핵정치를 어떻게 추진해 왔는지 살펴보고 ‘한반도 평화체제’와의 연관성을 고찰해 보고자 함이다. 현재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북아는 물론 지구적으로 미·중 경쟁구도가 심화되고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정세인식은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경로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중관계를 중심축으로 한 동북아 힘의 분포(distribution of power) 구조와 동북아의 힘의 균형 변화를 국력과 군사력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북한이 제기하는 안보군사위협의 특성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북한의 핵정치 역시 일면 미·중간 힘의 역학관계라는 전략적 환경에 적응한...
[학술논문] 한국 사드(THAAD)배치 결정에 대한 SWOT 분석
... 한국의 자주국방 약화, 남북한 관계의 악화 고착, 남남갈등의 격화 ➂ 기회요소로는 한·미동맹 강화와 한·일 관계의 증대, 미국의 세계군사전략과 아시아 안보전략에 동참하는 기회 마련 ➃ 위협요소로는 한·중 관계 악화와 중국의 보복, 동북아를 중심으로 한 신 냉전체제 전개 가능성 등으로 나타났다.
[학술논문] 미국과 중국의 동북아 정책 분석: 역사와 현재 국제 현상을 중심으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동북아 국제관계에서 미국과 중국은 북한과 한국에 어떤 전략 의도를 갖는지 알아보는 것이 이 논문 목적이다. 즉, 미국과 중국의 한반도 정책이 북·러 협력에 따라 북·중·러 삼각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지와 한·미·일 삼각 협력이 이에 대한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중국과 미국의 한반도 전략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유대는 미국과 중국의 한반도 전략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 중국과 러시아의 한반도 전략과 제2차 세계대전과 6·25 전쟁 이후 미국의 동북아 전략을 살펴보며 현재 시점에서 한반도 주변 정세를 분석하며 더불어 북·러 관계와 북·중 관계도 고찰해 보았다.
[학술논문] 미·중 전면적 전략 경쟁시대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 미·중관계와 북·중관계의 연관성
이 연구는 미·중관계가 중국의 대북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전면적 전략경쟁 상대로 규정하고 대중국 압박정책을 전개한 후 중국의 대북 정책과 북핵 정책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미·중관계가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지를 논의했다. 또한 중국이 대미 관계에서 북한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가;중국의 대미 관계에서 북한의 전략 가치가 증대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미·중관계가 중국의 대북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기는 하지만;미·중관계가 불투명하고 대립구도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안보에 전략적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북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