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베트남 패망 40년, 베트남전쟁과 한국
... 베트남 전쟁과 한국이 서로 주고받은 영향에 대해 고찰하도록 하겠다. 한국전쟁이 미국의 베트남전쟁 정책에 미친 영향, 베트남 전쟁 시기 북한의 대남정책에 대한 평가, 한국군 철수 정책, 남베트남 패망이 한국 사회에 준 교훈 등이 주요한 주제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주목되어야 할 이슈들을 제시하고, 베트남 전쟁과 동 시대를 분석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기하도록 하겠다.
[학위논문] 통일한국의 군사통합과 군사력 건설에 관한 연구
...원칙으로 하되, 북한군의 전략무기는 선별적으로 수용한다. 이념교육은 통일한국의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정신교육을 강화하고 자유민주주의 가치관 교육을 동화교육 차원에서 실시하며 상호 이질감 해소에 그 역점을 둔다.
이와 같은 군사통합논의 구조 속에서 분단국 통합사례의 한국적 적용(適用)과 적실성(適實性) 문제를 분석하는 것은 한반도에 적합한 군사통합 시나리오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예멘과 독일, 그리고 베트남의 분단과 통합사례는 결코 한반도의 그것과 동일하지는 않다. 그러나 한반도 통합과정에서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할 수 있다면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을 수가 있을 것이다.
실제적으로 분단국의 통합유형과 동북아의 전략균형론, 그리고 북한체제의...
[학위논문] 한반도 통일안보전략으로서 제4세대 전쟁이론 연구
...의사결정자들의 심리를 공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제4세대 전쟁은 123세대 전쟁이 그랬던 것처럼 인간사회의 전반적인 변화를 반영한 것이며,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계속 진화하고 있다 마오쩌둥의 혁명전쟁전략은 호찌민에 의해 베트남통일로 결실을 맺었다 이념적 반대편에서는 서독이 또 다른 제4세대 전쟁을 통하여 미국이 소련을 붕괴시킨 것처럼 동독을 무너뜨리고 통일을 달성하였다 분단 이후 한반도에서는 북한에 의한 마오쩌둥식의 혁명전쟁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나, 남한은 지금의 풍요에 젖어 이것이 전쟁이라는 인식조차도 부족하다
베트남의 통일전쟁은 한국의 통일에 있어 반면교사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 지금의 복잡한 국내 상황을 보고 붕괴 직전의 남베트남을 연상하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반면에 독일의 통일은 한반도와는...
[학위논문] 1970년대 이후 동독, 베트남, 북한의 체제변동 비교연구 : '국가-사회'관계의 동학을 중심으로
...통일된 베트남은 스탈린식 사회주의 체제를 청사진으로 삼았다. 하지만 베트남은 사회주의 중앙계획경제를 위해 필수적인 근대적 중앙집권체제를 수립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주민의 대다수는 농업 합작사에 속해 있었지만, 이 제도는 주민들을 사회주의 방식으로 통제하지 못했으며 생산성도 매우 낮았다. 실제로 국영기업에 종사하는 인원수도 매우 적었다.
통일 이후 당 지도부는 남과 북의 경제제도 차이를 우려하여 급진적인 국유화 정책을 실시하지 않았다. 게다가 미국이 베트남과의 관계개선 의지를 보이자 ‘해외투자법’을 제정하여 잠시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베트남은 이데올로기에 경도되기 보다는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그러나 전쟁배상금 문제로 미국과의 관계정상화...
[학위논문] Was the “China Factor” Working? : U.S. Policies towards Vietnam, North Korea and China in the Late 1970s
...그 후 베트남과 북한에 관한 미국의 외교 정책의 방향은 중국의 시선을 고려하면서 조정되어 갔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터 행정부의 커다란 업적 중 하나인 미-중 외교정상화는 베트남과 북한에 대한 카터의 이니셔티브에 걸림돌이 되었다. 카터 대통령은 대 중국 정책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정부 내 강경파들과 타협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베트남과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당초의 이니셔티브를 상실하게 되었다. 즉 1978년 중반에서 1979년 후반에 거쳐 중국과의 화해가 미국 정부의 최우선 과제가 됨에 따라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외교적 노력은 중단되었고, 북한과의 관계에서 진행 중이던 외교적 노력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카터 행정부가 베트남과 북한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