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후 한국현대미술의 이념적 동인 - 1950년대 한국미술에서의 전통과 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There is no doubt that the 1950s was the upheaval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Reason for this, Korean War and the consequent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nge occurred in the 1950s. The awareness about the world, separated from the previous period, also appeared. The 1950s is the time which should be discussed in depth on historical and art historical context. Reason for this, grabbing
[학술논문] 민족미술에 대한 열망: 『조선미술』 엽서집으로 본 1960년대 북한미술
...후 내놓은 김일성의 담화로 일단락되었고, 이 담화문은 주체성을 강조한 북한식 민족미술을 구축하는 신호탄이 되었다. 이 글은 바로 이 시기를 대표 하는 작품들로 구성된 『조선미술』 엽서집(외국문출판사, 1967)이 연구 대상이다. 1965년과 1966년 《국가미술전람회》에 서 입상한 작품들로 이루어진 이 엽서그림들은 정종여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10점의 엽 서그림 중 8점이 채색을 적극적으로 구사한 조선화이며, 몰골법의 사용, 영웅적인 인물의 형상화, 간결한 화면구성, 박진 감 넘치는 구도로 이루어진 점이 특징이다. 구체적인 작품과 작가 분석을 통해 민족미술에 대한 열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 지 살펴본 이 글은 1960년대 북한의 미술정책 기조와 특징을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미술 연구 동향과 과제
...2010년대 이후, 특히 문재인 정부 들어서서 북한미술 연구에 어떤 변화와 성과가 있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2018년 벽두, 남북 두 정상 간의 만남으로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북한미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 결과 개별 연구자는 물론, 학회⋅대학교 부설 연구소⋅정부산하 기관 등에서 연구에 박차를 가하면서 조선화나 미술정책에 집중되었던 주제에서 벗어나 포스터ㆍ자수ㆍ조각 등 연구 분야가 다양해졌으며, 새로운 연구자들의 활동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활발해진 연구만큼 앞으로 풀어야할 과제도 많다. 그동안 별다른 검토 없이 사용해왔던 ‘북한미술’이라는 용어를 비롯해, 북한미술의 기점, 범위 등에 대해서 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북한미술...
[학술논문] 북한의 시각매체에 재현된 금강산 이미지
...혁명가극의 무대가 된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가 붕괴되 고, 북한의 경제난이 심각해지면서 금강산은 관광지로 변모해갔다. 남북 관계에 따라 금강산은 치 열한 전쟁터에서 평화와 교류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금강산 하면 아름다운 경치를 떠올리 는 남한과 달리 북한의 시각매체에는 빼어난 경관 못지않게 ‘금강산 팔선녀’ 설화가 중요하게 작동 했다. 금강산을 설화와 결부시킨 이건영이 제작한 평양대극장 면막 그림을 비롯해 ‘금강산 팔선녀’ 이미지들은 인민을 계몽하고,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금강산에 대한 남북 한 인식 차이와 그 원인을 규명한 이 연구는 통일시대를 대비한 미술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